배열은 자료형이 같은 자료를 나열하여 메모리에 연속으로 저장하여 만든 자료 그룹 입니다.
1차원 배열의 선언과 초기화
자료형 배열이름 [배열요소의 개수] 자료형 배열이름 [배열크기] = {초기값 리스트}다차원 배열의 선언과 초기회
자료형 배열이름 [배열크기] [배열크기] [배열크기] 예) int i[2][3] = {{1,2,3},{4,5,6}} 또는 int i[][3] = {1,2,3,4,5,6};
포인터란 사용하는 모든 변수는 메모리의 특정 위치에 저장되는데 그 위치를 나타내는 메모리 주소를 뜻합니다.
포인터 선언
자료형 *포인터이름;포인터 연산에서는 크게 주소 연산자 와 참조 연산자 로 나뉘어 볼 수 있습니다.
포인터 = &변수; -> 주소 연산자(&) *포인터 = 값; 변수 = *포인터; -> 참조 연산자(*)
구조체란 배열처럼 여러 데이터를 그룹으로 묶어 하나의 자료형으로 정의하고 사용하는 자료형입니다. 다만 배열은 자료형이 같을 때만 그룹으로 묶을 수 있지만, 구조체는 서로 다른 자료형도 그룹으로 묶을 수 있어 복잡한 자료 형태를 정의할 때 유용하게 쓸 수 있습니다.
구조체 선언
struct 구조체형이름{ 자료형 항목1; 자료형 항목2; ... 자료형 항목n;데이터 항목의 참조
점 연산자(.) 구조체 변수의 데이터 항목을 지정한다. 화살표 연산자(->) 구조체형 포인터에서 포인터가 가리키는 구조체 변수의 데이터 항목을 지정한다. 예.) Lee.name ="Ann"; Sptr->name ="susan";
재귀호출 이란 함수가 자기 자신을 호출하여 순환하여 수행되는 것으로 순환 호출 또는 recursion 이라고 합니다.
재귀호출 선언
n! = n x (n-1)! (n-1)! = (n-1) x (n-2)! (n-2)! = (n-2) x (n-3)! ... 2! = 2 x 1! 1! = 1 (베이스케이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