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 12851 숨바꼭질 2

J. Hwang·2025년 2월 1일
0

coding test

목록 보기
94/108

문제

수빈이는 동생과 숨바꼭질을 하고 있다. 수빈이는 현재 점 N(0 ≤ N ≤ 100,000)에 있고, 동생은 점 K(0 ≤ K ≤ 100,000)에 있다. 수빈이는 걷거나 순간이동을 할 수 있다. 만약, 수빈이의 위치가 X일 때 걷는다면 1초 후에 X-1 또는 X+1로 이동하게 된다. 순간이동을 하는 경우에는 1초 후에 2*X의 위치로 이동하게 된다.
수빈이와 동생의 위치가 주어졌을 때, 수빈이가 동생을 찾을 수 있는 가장 빠른 시간이 몇 초 후인지 그리고, 가장 빠른 시간으로 찾는 방법이 몇 가지 인지 구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

첫 번째 줄에 수빈이가 있는 위치 N과 동생이 있는 위치 K가 주어진다. N과 K는 정수이다.


출력

첫째 줄에 수빈이가 동생을 찾는 가장 빠른 시간을 출력한다.
둘째 줄에는 가장 빠른 시간으로 수빈이가 동생을 찾는 방법의 수를 출력한다.


내 풀이

from collections import deque

n, k = map(int, input().split())

q = deque()
q.append(n)

visited = [0 for _ in range(100001)]

cnt, result = 0, 0

while q:
    s = q.popleft()
    temp = visited[s]
    if s == k:
        result = temp
        cnt += 1
        continue
        
    for i in [s-1, s+1, 2*s]:
        if 0 <= i < 100001 and (visited[i]==0 or visited[i]==visited[s]+1):      # 같은 최소 시간으로 도달하는 경우: 경우의 수 누적
            visited[i] = visited[s]+1
            q.append(i)

print(result)
print(cnt)     

코멘트

숨바꼭질 3 문제와 비슷하게 BFS 탐색을 이용해서 최단 시간을 계산할 수 있는 문제이다.
하지만 이번 문제에서는 최단 시간으로 찾을 수 있는 방법까지도 기록해서 출력해야 한다. 그래서 s==k (동생을 찾음)일 때 break로 끝내지 않고 continue를 이용해서 더 탐색을 하도록 한다. 그리고 반복문 내의 조건에서 visited[i]==visited[s]+1를 포함시켜서 이미 탐색이 진행된 케이스에서도 계속 작동되도록 해서 같은 최단 시간을 이루는 여러 방법을 세도록 한다.


References

https://www.acmicpc.net/problem/12851
https://edder773.tistory.com/69

profile
Let it code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