라그랑주는 1770년에 모든 자연수는 넷 혹은 그 이하의 제곱수의 합으로 표현할 수 있다고 증명하였다. 어떤 자연수는 복수의 방법으로 표현된다. 예를 들면, 26은 과 의 합이다; 또한 + + 으로 표현할 수도 있다. 역사적으로 암산의 명수들에게 공통적으로 주어지는 문제가 바로 자연수를 넷 혹은 그 이하의 제곱수 합으로 나타내라는 것이었다. 1900년대 초반에 한 암산가가 15663 = + + + 라는 해를 구하는데 8초가 걸렸다는 보고가 있다. 좀 더 어려운 문제에 대해서는 56초가 걸렸다: 11339 = + + + .
자연수 n이 주어질 때, n을 최소 개수의 제곱수 합으로 표현하는 컴퓨터 프로그램을 작성하시오.
입력은 표준입력을 사용한다. 입력은 자연수 n을 포함하는 한 줄로 구성된다. 여기서, 1 ≤ n ≤ 50,000이다.
출력은 표준출력을 사용한다. 합이 n과 같게 되는 제곱수들의 최소 개수를 한 줄에 출력한다.
n = int(input())
dp = [0]*(n+1)
k = 1
while k**2 <= n:
dp[k**2] = 1
k += 1
for i in range(1, n+1):
j = 1
while j**2 <= i:
if dp[i] == 0:
dp[i] = dp[j**2] + dp[i-j**2]
else:
dp[i] = min(dp[i], dp[j**2]+dp[i-j**2])
j += 1
print(dp[n])
다만 위의 풀이는 python3로 제출하면 시간 초과가 뜨고 PyPy3로 제출해야 정답을 받을 수 있다.
처음에는 sqrt를 이용해서 실제로 어떤 제곱수로 이루어졌는지 주어진 수에서 빼보면서 찾는 방식으로 풀었다. (참고로 numpy를 이용하면 ModuleNotFoundError가 뜨고 math는 괜찮았다.) 그런데 정확하지 않은 풀이인지 오답을 받았고 알고보니 이 유형은 DP 문제였다. 위와 같이 n을 이루는 제곱수의 수를 의미하는 dp 배열을 선언한 후 제곱수는 미리 1로 설정해둔다. 그리고 12처럼 둘 이상의 제곱 수로 이루어진 수는 while j**2 <= i
반복문을 돌리면서 dp[12] = dp[1] + dp[11]
와 같이 dp의 값을 구하고 그 수들 중 최솟값을 찾기 위해 dp[i] = min(dp[i], dp[j**2]+dp[i-j**2]
를 해준다. 다만 이 풀이도 여전히 python3을 이용하면 시간 초과가 일어나고 pypy3로 풀어야 했다.
이 문제는 브루트포스(가능한 모든 경우의 수 탐색)로도 풀 수 있다.
import math
n = int(input())
def is_square(num):
if math.sqrt(num) == int(math.sqrt(num)):
return True
else:
return False
no = 4 # maximum 4 squares
if is_square(n)==True:
no = 1
else:
for i in range(int(math.sqrt(n)), 0, -1):
if is_square(n-i**2)==True:
no = 2
break
else:
for j in range(int(math.sqrt(n-i**2)), 0, -1):
if is_square(n-i**2-j**2)==True:
no = 3
break
print(no)
https://www.acmicpc.net/problem/17626
https://aia1235.tistory.com/34
https://sdsf1225.tistory.com/70