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드락이 발생하면 프로그램이 원하는 대로 동작하지 않는 문제가 발생할 수 있다. 따라서 프로그래머는 이를 잘 이해하고 해결해야 한다. 이 글에서는 데드락에 대해 정리한다.프로세스가 자원을 얻지 못해 다음 처리를 하지 못하는 상태로, ‘교착 상태’
ViewModel 클래스는 수명 주기를 고려하여 UI 관련 데이터를 저장하고 관리하도록 설계되었다. ViewModel 클래스를 사용하면 화면 회전과 같이 구성을 변경할 때도 데이터를 유지할 수 있다. 이러한 ViewModel에 대하여 정리하고자 한다.
현재 안드로이드를 위주로 공부를 하고 있는데 여기서 사용하는 코틀린 이라는 언어는 함수형 프로그래밍 언어이다. 이 글에서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대해 정리했다.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의 구분명령형 프로그래밍:
안드로이드 관련 마지막 포스팅이 안드로이드의 Activity에 대한 소개와 간단한 콜백 함수들을 정리 했었다. 이 글에서는 이러한 Activity가 안드로이드 환경에서 어떠한 생명주기를 가지는지와 콜백 함수들에 대해 좀 더 자세히 정리하고 한다.
프로세스와 스레드는 비슷하면서도 다른 개념을 가지고 있다. 운영체제에서 이러한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개념과 동작을 이해하는 것은 매우 중요하다. 이 글에서는 프로세스와 쓰레드의 차이와 동작 방식 등에 대해 소개한다.
소프트웨어를 개발할 때 동기 또는 비동기적으로 코드를 작성하는 일은 매우 중요하다. 용도나 방식에 따라서 올바른 방식을 적절히 선택해야하는데 이러한 동기와 비동기에 대해 개념을 정리해 보고자 한다.
CS에 대해 하나하나 복습하면서 정리를 시작하고자 한다. 우선 첫 번째 내용으로는 데이터베이스의 인덱스 개념에 대해 공부해보았다.인덱스는 데이터베이스 테이블에 대한 검색 성능의 속도를 높여주는 자료구조이다.특정 컬럼에 인덱스를 생성하면,
안드로이드 개발에서 가장 중요하면서도 기본적인 개념은 Activity이다. 이 글에서는 Activity란 무엇인지와 기본적인 내용들을 정리했다.Activity 클래스는 Android 앱의 중요한 구성요소로 활동이 실행되고 결합되는 방식은
앞서 코틀린의 기본 문법에 대해 정리를 했는데 생각해보니까 시작하기 전에 코틀린에 대해 정리를 안하고 바로 시작해버렸다ㅜㅜ 기본 문법 정리가 모두 끝난 지금 코틀린이 무엇인지에 대해 간단하게 정리를 해보고자 글을 쓴다.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공부를 위해 Kotlin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앞서 작성한 클래스에 이어지는 내용이다.자바의 static 대신에 사용되는 것으로 정적인 메소드나 변수를 선언할 때 사용한다.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공부를 위해 Kotlin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클래스에 관련된 내용이다.class 키워드를 사용하여 클래스를 정의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공부를 위해 Kotlin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함수에 관련된 내용이다.하나 이상의 표현식을 함수로 그룹화할 수 있다.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공부를 위해 Kotlin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반복문에 관련된 내용이다.1부터 10까지 반복하는 for문변수를 선언하여 1부터 10까지 반복할 수도 있다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공부를 위해 Kotlin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array와 list에 관련된 내용이다.초기화와 동시에 크기가 정해진다.메모리 공간에 연속적으로 저장된다.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공부를 위해 Kotlin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조건부와 반복문에 관련된 내용이다.Kotlin은 조건부 논리를 구현하기 위한 몇 가지 메커니즘을 제공한다.
코틀린 기본 문법 정리1 - 변수 안드로이드 네이티브 앱 개발 공부를 위해 Kotlin의 기본적이면서도 중요한 문법들을 정리해보았다. 이 글은 변수 선언과 관련된 내용이다.
Branch란?브랜치란 독립적으로 어떤 작업을 진행하기 위한 개념입니다. 필요에 의해 만들어지는 각각의 브랜치는 다른 브랜치의 영향을 받지 않기 때문에, 여러 작업을 동시에 진행할 수 있습니다.
안드로이드 스튜디오에서 가상머신을 설치하고 실행하는 방법을 정리해 보았다. 추가로 실제 기기를 연결하는 방법도 작성했다.안드로이드 개발 환경에는 실제 하드웨어가 없어도 앱을 개발하고 테스트할 수 있는 안드로이드 에뮬레이터(Emulator)가 제공됩니다.
Git Bash에서 명령어를 사용하여 Git 기능들을 수행할 수 있지만 Android Studio에서 Git을 연동하여 GUI 방식으로 협업을 진행하는 과정을 정리하였다.
windows 환경에서 git 명령어를 사용하기 위해서는 git을 다운로드 해야한다. 이러한 환경을 설정하는 방법을 정리했다.git 명령어를 windows에서 사용하기위해 git을 설치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