특징 Vue는 사용자 인터페이스를 만들기 위한 프로그레시브 프레임워크다. (점진적으로 적용가능한 프레임워크다) React는 UI라이브러리다. 다른 단일형 프레임워크와 달리 Vue는 점진적으로 채택할 수 있도록 설계됐다. 핵심 라이브러리는 뷰 레이어만 초점을 맞추어
컴포넌트 단위로 개발을 해보자 전역등록 Vue.component('my-component-name', { /* ... */ }) 를 이용해서 컴포넌트를 전역으로 등록한다. 컴포넌트의 이름은 첫 번째 인자로 들어가는데, 케밥표기법 으로 작성하는 것을 권장한다. My
선언적 렌더링을 위해서 {{}} 템플릿 표현식만 사용할 수 있는 것은 아니다. v-bind:value와 v-bind:src 에 Vue인스턴스의 속성을 바인드하고있다. 줄여서 :value :src로 쓸 수 있다.input을 변경하면 바로 아랫줄의 div의 데이터가 변경된
el옵션에 class형 선택자를 사용할 경우에는 가장 첫 번째 요소가 선택된다.el옵션을 사용하지 않았을 경우 동적으로 \[vueInstance].$mount("- computed옵션에서 지정한 값이 함수더라도 Vue인스턴스는 프록시 처리해서 속성처럼 취급한다 vueI
Vue.js에서 이벤트는 v-on 디렉티브를 이용해서 처리할 수있다.v-on:click v-on:input을 줄여서 @click @input 처럼 사용할 수 있다.React에서는 input에 onChange라는 이벤트속성을 사용했지만, Vue에서는 input이라는 이벤
props를 이용해서 상위컴포넌트에서 하위컴포넌트에 데이터를 전달하고, event를 통해 하위컴포넌트에서 상위컴포넌트로 전달하는 것은 React와 동일하다.Vue에서는 props를 어떻게 전달하는지 알아보자props속성에 배열을 이용해 props명을 전달한다.주의할
Vue는 프레임워크기 때문에 전역상태관리 도구도 제공한다. EventBus처럼 컴포넌트간의 거리가 멀어지면 (깊이가 깊어지면) 발생하는 문제를 완화하기 위한 장치도 있지만, 근본적은 해결책으 제시하진 않는다. Vue에서도 역시 전역상태관리 도구가 존재한다. Re
Vue의 가장 많이 사용하는 디자인 템플릿 vuetify에 대한 포스팅이다.vue cli 버전이 3.0 이상인지 확인한다.vue add로 플러그인을 추가한다.추가한 뒤에는 template내에서 <v-card> 처럼 v로 시작하는 prefix를 붙여서 바로 사용할