02-1 함수 1. 함수 관련 용어 정리 함수의 정의: 실행이 가능한 함수 함수의 호출: 함수 실행 명령 인자의 전달: 함수를 호출할 때 필요한 입력 값을 전달 2. 함수의 구조 > **출력형태 함수이름(입력형태) { 함수의 몸체 }** ex) int main(
03-1 변수 변수: 값을 저장할 수 있는 메모리 공간에 붙은 이름 변수 선언 방법 ex) int num; → 정수 저장이 가능한 메모리 공간을 할당하고 이를 num이라 이름지음. 초기화: 선언된 변수에 처음 값을 저장하는 것 변수의 자료형 정수형 변수: int, long, short, char형 등 실수형 변수: double, float형 등 ...
04-1 데이터 표현 단위 비트(Bit): 컴퓨터가 표현하는 데이터의 최소 단위로 2진수 값 하나를 저장 바이트(Byte): 비트를 8개 묶은 것 > n개의 비트를 가지고 나타낼 수 있는 데이터의 수는 2ⁿ개이다. 04-2 8진수와 16진수를 이용한 데이터 표현 16진수의 값을 갖는 변수 선언 시 → int (변수이름) = 0x(값); 8진수의 값을 갖...
05-1 기본 자료형 자료형: 데이터를 표현하는 기준(데이터의 용도와 크기를 결정) 정수형 char: 1바이트 short: 2바이트 int: 4바이트 long: 4바이트 long long: 8바이트 실수형 float: 4바이트 double: 4바이트 long double: 8바이트 이상 > ※ 유의점 dou...
특수문자(이스케이프 시퀀스)와 서식지정 1. 특수문자 \a: 경고음 \b: 백스페이스 \n: 개 행 \t: 수평 탭 \', \", \?: 작은 따옴표, 큰 따옴표, 물음표 \\: 역슬래쉬 2. 서식지정 %d, %ld, %lld: 부호 있는 10진수 정수(char/short/int, long, long long) %u: 부호 없는 10진수 정수(unsi...
07-1 while문 > while(조건문) { 실행 문장 } 만약 반복의 대상이 하나의 문장이라면 중괄호 생략 가능 무한루프의 구성 > while(1) { 실행 문장 } p. 155 07-1 문제 5 p. 157 07-2 문제 2 07-2 do~while문 do~while문은 while문과 달리* 반복 조건을 뒷부분에서 검사*한다. → 반복 영역을...
08-1 if~else문(if...else if... else문) > if(조건문 1) { 실행 문장 } else if(조건문 2) { 실행 문장 } ... else { 실행 문장 } 08-2 조건 연산자(삼 항 연산자) 피연산자의 수가 3개 > (조건) ? data1 : data2 → 조건이 참이면 연산결과로 data1 반환, 거짓이면 data2 반환...
09-1 함수의 정의와 선언 1. 다양한 형태의 함수 정의 전달인자 O 반환값 O > int Add(int num1, int num2) { int result = num1+num2; return* result; / result 값을 Add 함수를 호출한 영역으로 전달 */ } → 전달인자: int형 변수 num1, num2 / 반환값...