윤성우의 열혈 C 프로그래밍 Chapter 2 프로그램의 기본구성

권민정·2022년 3월 7일
0

02-1 함수

1. 함수 관련 용어 정리

  • 함수의 정의: 실행이 가능한 함수
  • 함수의 호출: 함수 실행 명령
  • 인자의 전달: 함수를 호출할 때 필요한 입력 값을 전달

2. 함수의 구조

출력형태 함수이름(입력형태)
{
함수의 몸체
}

ex) int main(void)
{
printf("Hello world! \n");
return 0;
}

→ 출력형태가 int이고 입력형태가 voidmain이라는 함수는 중괄호 안에 있는 내용의 기능을 지닌다.

함수 내 문장의 끝에는 세미콜론 (;)을 붙여준다.
But 모든 문장에 세미콜론이 붙는 것은 아니다.

3. 표준 라이브러리와 표준함수

  • 표준함수: 직접 만들지 않아도 기본적으로 제공되는 함수
    ex) printf 함수 - 문자열 인자를 모니터에 출력하는 함수
    printf("Hello world! \n");

    c언어는 큰따옴표를 이용해 문자열을 표현한다.

  • 표준 라이브러리: 표준함수들의 모임

    표준함수의 호출을 위해서는 헤더파일 선언 필요
    헤더파일 선언은 소스파일의 맨 앞부분, 함수 정의 이전에 와야 함

ex) #include <stdio.h> → 헤더파일 stdio.h 선언문

4. return문

  • 기능: 함수를 호출한 영역으로 값 반환, 실행중인 함수 종료

ex) return 0; → 함수를 호출한 영역으로 0을 반환한 후 함수를 빠져 나온다.

02-2 주석

1. 주석 명시 방법

블록 단위 주석: /* */ → 중첩 불가능
행 단위 주석: //

02-3 서식문자

  • 기능: 출력의 형태를 지정
  • 출력 대상: 전달 인자

ex) %d → 10진수 정수 형태의 출력

printf("%d %d\n", 10, 20);
→ 출력문: 10 20

+ 예제 풀이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