위와 같은 코드를 비쥬얼스튜디오로 작성하고 상단 메뉴바에 빌드>솔루션빌드를 통해서 windows에 프로세스를 빌드하고, 미리 설정한 경로 필자의 경우 D>kth>unity>cs>Chapter02>Hello>bin>Debug>net.8.0에 들어가 보면 아래의 사진과 같
원하는 메소드를 블럭을 씌워서 F12번을 눌러서 찾아들어간다.또는 블럭을하지 않아도 컨트롤(Ctrl) + 마우스좌클릭을 통해서도 들어갈 수 있다.
버전이 낮은 경우 C처음 파일을 만들때 자동으로 Class명이 Programs로 지정되는데 이 Programs를 변경하기 위해서는, 비주얼 스튜디오에서 우측에 위치하는 솔루션탐색기 내의 CS 파일명을 변경해주면 된다. 코드 내에서 Class이름을 수동으로 바꿔주어도 파
일반적으로 숫자형태의 데이터를 문자로 출력할 때 ToString()을 사용하여 string타입으로 바꿔서 출력해 줄 수 있다. 하지만 데이터가 많은데 한번에 여러데이터를 출력해 줄때는 모든 변수를 하나하나 캐스팅하면 불편해진다. 이러한경우에 사용할 수 있는 방법이
숫자형 데이터가 커질 때 우리는 자리수에 대한 실수가 발생할 수 있다.실수를 하지 않기위해 2번 3번 검사하고 진행하기에는 너무나 효율이 떨어진다.하지만 이러한 숫자형 타입이 자리수변화로 인해 문제가 생기면 너무나도 큰 문제가 생길 수 있다.내 통장에 있을 1000만원
내가 js로 처음 코딩을 배울때 삼항연산자는 그냥 삼항연산자로 바웠는데 여기서 C#을 배우면서 if()는 조건문이고, 삼항연산자는 조건식이라고 명명하고 사용하는 것을 보았다. 또한 기본적으로 사용하던 Switch-Case 문 또한 C#의 람다식을 이용한 Swirc
일반적으로 클래스를 생성할때 생성자인 new키워드를 사용하여 생성한다. 클래스 또한 생성한 이후 객체와 같이 참조형식이기 때문에 GT(가비지 콜렉터)가 메모리에서 지우기는 하는데 완전한 프로그램 종료 때 말고 언제 지우는지는 GT만이 알 일이다.이러한 상황에서 종료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