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동일한 가중치를 가지고 있을 때! bfs를 사용한다.
1) 테두리 체크
2) 방문 체크
-> 무조건 한번만 방문 가능하므로, 다른 인접리스트 접근이 불가함
bfs로 접근할때 불변수를 이용해 사용유무를 확인하는데,
그렇지 않은 경우도 있다.
예시 : 이코테의 미로탈출, 프로그래머스의 게임 맵 최단 거리가
이에 해당한다.
카카오 경주로 건설도 포함.
어떻게 구별할 수 있냐면 컨테이너의 값을 통해서 접근할 수 있는 수와 접근할 수 없는
수로 제한되어 있을 경우에 해당한다.
-> 이렇게 된다.
(0,1)에서 2가 5로 되지 않는 이유는
갈수 있는 값이 1이라는 조건이 있기 때문에 가능한 것이다.
그것을 염두에 두고 코드를 짜면 시작점을 어떻게 처리할 것인지에 대한
고민이 필요없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