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프링 실행시 메인메소드의 패키지, 하위 패키지에서 어노테이션을 찾는다 >톰캣이 실행되면 스프링 컨테이너를 띄운다, 스프링 프레임워크에게어노테이션 Controller 를 확인시킨다. = 객체를 생성해서 가지고 있따 = 스프링 컨테이너에서 스프링 BEAN 이 관리된
{"aa":"bb","cc":100,200,300,"dd":"aa","bb"}bean 에 member 테이블에 있는 id가 저장TestJson.jsp /t5.jsp 로 넘어가는데 성공해서 받아온 str은 Object이다, str.memberlist 로 뽑아도 배열로 d
데이터모델링 : 업무를 분석해서 조직에서 어떤 데이터를 사용하는지 인식하고 테이블로 Relation 으로 매핑하는 활동(Artifact) 요구사항정의 -> 분석 ->설계 까지를 모델링이라 한다Data Model 을 ER-Diagram 으로 작성한다.모델링 ---구현De
AfterEach -> 한 메소드가 끝나면 clearStore 로 자원정리, 하지 않는다면 spring문자열이 충돌save 메소드 -> Member 객체를 만들어서 spring 문자열 입력,repository객체로 save 메소드에 member 전달repository
JSP 에서 request.getParameter(키값)을 배웠따면 스프링에선 >@Getmapping 으로 url 을 맵핑 해줌. xml 보다 가독성이 좋아 보인다 매개변수로 RequestParam 을 넣었다 -> required true 라서 값이 없다면 오류
컴터를 종료안시키고 절전모드만 하다 보니, 종료 안된게 있었나 보다작업관리자에서 프로세서 아이디를 찾아서 강제종료 시킬 수 있다9090으로 바꿨는데, 8080이 이미 사용되고 있다고 에러가 났다!왜지.?평소 1.8 버전을 사용했는데, 인텔리 에선 11을 사용해서 환경변
캡처링 : 부모태그에서 자식태그로 이벤트가 발생한다 마지막으로 부모에게 올라간 버블링 : handleClickBubble 이 생긴다
클라스 내에서 메소드 호출은 마치 갓 태어난 새끼 마냥 부모가 누군지 몰라서 this (얘가) 니 부모다 라고 말해줘야 한다.(데이터 바인딩) this.handleClik = this.handleClick.bind(this)근데 귀찮으니 화살표 함수로 handleCLi
함수 호출시 a() , 처럼 괄호를 적어왔다,setInterval(tick) 에선 괄호를 적으면 작동하지 않는다, mdn 에서 setInterval(인자) 를 보면 인자로 func 이름을 담고 있어 tick 이라고 적던, () =>tick() 으로 함수를 적고 리턴값으
App 컴포넌트를 실행하는데, Child 컴포넌트에서 throw new Error 를 했다, 이럼 App에 있는 모든게 동작하지 않는다, 동작을 하되, 에러가 낫음을 보여주자ErrorBoundary 클라스를 만들어서 state 객체를 만들었따, error : null
input 태그에 적은 id 에 label 이 따라오다, input박스에 상태가 변할때마다 handleChange 가 호출되다. setPhoneNumber 는 들어올때 마다 phoneNumber 를 바꾸다. 만약 0으로 시작하면 setMessage 가 message 의
console.dir 로 보며 form 태그의 구조가 보인다 -> 왜 0 , 1을 적었는지 알 수 있다하지만 해당 로직은 폼 태그에서 fname lname 의 순서가 바뀌면 0 1 이 아닌 다른 숫자를 입력 해야 하는 경우가 생길 수 있다. event.target.el