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읽을 거리]논문을 읽는 법

KyeongHun Kim·2024년 4월 27일
0
post-thumbnail

🤷🏻 논문을 읽는 법

 논문과는 거리가 멀다고 생각했지만 공부를 계속하며 논문을 읽어야할 일이 많이 생겼다. 영어와 어려운 용어 등 논문을 힘겹게 읽다가 다른 사람들은 어떻게 논문 리뷰를 하는지 검색했다. 수많은 꿀팁과 논문을 읽는 방법을 소개한 논문을 발견, 정리를 해보자!

✏️ 논문을 읽는 이유는 무엇인가?

 논문을 읽는 이유는 보통 업계의 동향을 파악하거나, 프로젝트, 업무를 수행하는 데 필요한 기술을 적용시키기 위해서라고 생각한다.

✏️ 어떤 것을 읽을 것인가?

  1. 리뷰 논문
    리뷰를 하기 위해서는 어떤 것을 리뷰할 것인지 먼저 정해야한다. 특정 주제(예를 들면, 추천시스템)를 정했다면 그것에 대한 리뷰 논문을 먼저 찾아 보는 것도 좋다!

❓ 리뷰 논문이 뭔가요?

 리뷰 논문이란 특정 주제에 대한 논문을 비평하고 분석하는 글, 주제에 대한 다양한 연구들 간의 공통점, 상반되거나 다른 결과의 이유 등을 설명한다. 이것을 통해 해당 분야의 배경지식, 동향 등을 파악할 수 있다.

  1. 학술 정보 사이트, 주요 학회지 등을 찾아보자!
    Google Scholar, cite ceer 등 학술 정보 사이트에서 검색을 하거나, 주요 학회지 등에서 특정 주제에 대해 검색을 해본다.

ML/DL 분야 주요 학회지 및 컨퍼런스

  • NIPS, ICML, ICLR(3대 학회지)
  • ACL, EMNLP(NLP 분야 컨퍼런스)

✏️ 어떻게 읽어야 하는가?

논문을 읽는 마음가짐

한 번에 이해하려고 하지 말 것!

처음 읽어보는 주제, 공부를 시작한 분야라면 당연히 논문을 한 번에 이해하기 어려울 것이다. 조급함을 버리고 편안한 마음으로 읽어보자.

전문적인 용어나 개념은 검색해볼 것!
전문 용어가 이해되지 않아 문장이 잘 읽히지 않을 때가 있다. 그럴 때에는 되도록 구글에 검색하여 영문으로 된 자료를 읽어보자.

구글에 검색했을 때 해당 용어의 배경지식과 관련 연구 자료들이 검색되어 논문을 공부할 때 더 많은 도움이 된다.

디테일에 너무 집착하지말 것!
한 문단의 논리가 이해되지 않았을 때 과감히 다음 문단으로 넘어가보자. 관련된 논문을 많이 읽어보고 이해도가 쌓이고 나면 저절로 해결되는 경우가 많기 때문이다.

물론, 경험이 쌓였을 때는 디테일까지 챙겨서 충분한 시간을 들여 파고 드는 것도 좋다. 그러나 논문을 처음 읽는다면 그 논문의 요점과 큰 그림만 파악해도 성공적이다.

좋은 논문은 시간 차이를 두고 여러번 읽어볼 것!
어떤 분야에서 유명한 연구 그룹에서 출간한 논문 또는 선배들이 추천하는 내용이 좋은 논문은 시간 차이를 두고 여러 번 읽어보자. 처음 읽었을 때는 큰 그림을 위주로 봤다면, 두 세 번째 읽을 때는 하나의 디테일에 신경써서 읽어보는 것도 좋다.

단지 시간 차이를 두었을 뿐인데 예전에는 이해되지 않았던 논리가 다시 읽었을 때는 쉽게 이해될 수도 있고 내용이 우수한 논문은 여러 번 읽을수록 논문에 대한 이해도가 높아져 새로운 인사이트를 얻을 수 있다.

논문을 읽는 순서

논문을 쓰는 순서읽는 순서다르다!

논문이 쓰여 있는 순서
title ➡️ abstract ➡️ introduction ➡️ experimental
➡️ results & discussion ➡️ conclusion ➡️ references

논문을 읽는 순서
title ➡️ abstract ➡️ introduction의 마지막 ➡️ conclusion ➡️ Results & discussion (data) ➡️ Introduction 전체 ➡️ Results & discussion (detail)

  1. title

    • 제목, 저널명, 출간년도, 어떤 그룹에서 낸 것인지 체크
  2. abstract

    • 논문의 주요 내용을 한 문단 내지 두 문단으로 정리를 해 놓은 파트
    • 해당 연구가 왜 진행되었는가?, 목표는 무엇인가?, 결론은 무엇인가? 등을 파악할 수 있음.
  3. conclusion

    • 연구의 주요 성과들에 대해 약간 더 자세하게 알아볼 수 있음.
    • 초록을 읽으면서 이해가 되지 않았던 부분을 결론 파트에서 보강할 수 있음.
    • 해당 논문의 큰 그림을 그려볼 수 있음. 이 연구가 왜 진행되었으며 어떤 의미가 있는지 정도는 말할 수 있는 상태.
  4. results & discussion

    • 각종 그래프와 표를 훑어보기.
    • 자세하게 데이터를 해석할 필요는 없고, 논문이 어떤 종류의 데이터를 담고 있으며, 어떤 분석 방법을 사용하여 논리를 뒷받침하고 있는지 대강 파악하는 것이 목적
  5. introduction

    • 해당 분야에 대한 전반적인 배경지식이 소개되어 있음.
    • 저자가 참고한 선행 연구들에 대한 분석과 함께 연구 동기방향성에 대해 알아볼 수 있음.
    • 해당 분야에서 사실이라고 받아들여지고 있는 여러 이론들과 연구 결과들을 공부할 수 있는 파트.
  6. results & discussion

    • 다시 읽는 만큼 데이터를 해석하는 저자의 논리의 흐름을 디테일하게 파악.
    • 이해하기 어려운 부분이 있다면 저자가 표시해 놓은 관련된 문헌 번호를 reference 파트에서 찾아 따로 표시를 해놓고 다음에 공부할 논문으로 준비해놓기

마치며...

 구글링을 하며 찾은 여러 사람들의 논문 리뷰 방법을 정리 했다. 방법을 아는 것보다 더 중요한 것은 이것을 꾸준히 실천하는 것에 있다고 생각한다. 효율적으로 공부하는 방법이 생긴만큼 성실하자!


©️

profile
기본에 충실하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