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코딩테스트]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 비밀지도

kysung95·2021년 5월 9일
1

코딩테스트

목록 보기
7/10

안녕하세요. 김용성입니다.
오늘은 2018 KAKAO BLIND RECRUITMENT 코딩테스트의 1번 문제인 비밀지도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문제

비밀지도
네오는 평소 프로도가 비상금을 숨겨놓는 장소를 알려줄 비밀지도를 손에 넣었다. 그런데 이 비밀지도는 숫자로 암호화되어 있어 위치를 확인하기 위해서는 암호를 해독해야 한다. 다행히 지도 암호를 해독할 방법을 적어놓은 메모도 함께 발견했다.

지도는 한 변의 길이가 n인 정사각형 배열 형태로, 각 칸은 "공백"(" ") 또는 "벽"("#") 두 종류로 이루어져 있다.
전체 지도는 두 장의 지도를 겹쳐서 얻을 수 있다. 각각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지도 1"과 "지도 2"는 각각 정수 배열로 암호화되어 있다.
암호화된 배열은 지도의 각 가로줄에서 벽 부분을 1, 공백 부분을 0으로 부호화했을 때 얻어지는 이진수에 해당하는 값의 배열이다.
secret map

네오가 프로도의 비상금을 손에 넣을 수 있도록, 비밀지도의 암호를 해독하는 작업을 도와줄 프로그램을 작성하라.

입력 형식
입력으로 지도의 한 변 크기 n 과 2개의 정수 배열 arr1, arr2가 들어온다.

1 ≦ n ≦ 16
arr1, arr2는 길이 n인 정수 배열로 주어진다.
정수 배열의 각 원소 x를 이진수로 변환했을 때의 길이는 n 이하이다. 즉, 0 ≦ x ≦ 2n - 1을 만족한다.

풀이

이 문제를 보고 가장 먼저 떠올렸던 것은 비트 연산입니다. "지도 1"과 "지도 2"라고 하자. 지도 1 또는 지도 2 중 어느 하나라도 벽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벽이다. 지도 1과 지도 2에서 모두 공백인 부분은 전체 지도에서도 공백이다. 이 부분에서 이 점을 파악할 수 있죠 :)
문제의 난이도가 어렵지 않지만 비트연산에 대한 이해가 어느정도 갖춰줘 있고 여러가지 파이썬 메소드들을 알고 있다면 더 간단히 풀 수 있는 문제였습니다.

이진수 변환 과정 (rjust+slice)

저는 반복문 내에서 문제에 주어진 숫자들을 이진수로 처리한 뒤에 OR 연산을 수행해주었어요.
그렇게 수행을 하고 난 뒤에는 변경된 이진수 앞에 있는 0b를 slice를 이용해서 떼어주고 연산을 해당 지도의 칸 수를 맞추기 위해서 rjust메소드를 사용하였습니다.


arr1_binary=bin(arr1[i])[2:].rjust(n,"0")
arr2_binary=bin(arr2[i])[2:].rjust(n,"0")

rjust 메소드는 상당히 유용하니 알아두시면 좋아요. 첫번째 매개변수 자리 수로 맞춰주는데 빈칸을 두번째 매개변수로 채워주는 것이죠. rjust뿐 아니라 ljust도 존재합니다.

빈칸과 #으로 변환

이제 변경된 두개의 2진수를 비트연산 처리를 해준 뒤, 0에 해당 되는 것은 빈칸으로 출력, 1에 해당하는 것은 "#"으로 변경해주면 돼요. replace등을 사용해도 좋지만 저는 다음과 같이 작성하였습니다.

   for j in range(n):
            if str(int(arr1_binary[j]) or int(arr2_binary[j])) == "0":
                word+=" "
            else:
                word+="#"

최종 코드

def solution(n, arr1, arr2):
    
    
    answer=[]
        
    for i in range(n):
        
        word=""
        
        arr1_binary=bin(arr1[i])[2:].rjust(n,"0")
        arr2_binary=bin(arr2[i])[2:].rjust(n,"0")
        
        for j in range(n):
            if str(int(arr1_binary[j]) or int(arr2_binary[j])) == "0":
                word+=" "
            else:
                word+="#"
                        
        answer.append(word)
        
    return answer
    

코드는 다음과 같습니다.

성공

마무리

이번 주 내내 코딩테스트 포스팅을 진행하였는데요.
잡혀있는 코딩테스트 일정으로 인해 이번 한 주는 평소 진행하던 프로젝트나 프론트엔드 공부를 하지 못했네요 ㅠㅠ 내일부터 다시 달리도록 하겠습니다.

profile
김용성입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