안녕하세요. 김용성입니다.
오늘은 2019년도 카카오 개발자 겨울 인턴십 코딩테스트의 2번 문제인 튜플 문제를 풀어보도록 하겠습니다.
셀수있는 수량의 순서있는 열거 또는 어떤 순서를 따르는 요소들의 모음을 튜플(tuple)이라고 합니다. n개의 요소를 가진 튜플을 n-튜플(n-tuple)이라고 하며, 다음과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1, a2, a3, ..., an)
튜플은 다음과 같은 성질을 가지고 있습니다.
중복된 원소가 있을 수 있습니다. ex : (2, 3, 1, 2)
원소에 정해진 순서가 있으며, 원소의 순서가 다르면 서로 다른 튜플입니다. ex : (1, 2, 3) ≠ (1, 3, 2)
튜플의 원소 개수는 유한합니다.
원소의 개수가 n개이고,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 (a1, a2, a3, ..., an)이 주어질 때(단, a1, a2, ..., an은 자연수), 이는 다음과 같이 집합 기호 '{', '}'를 이용해 표현할 수 있습니다.
{{a1}, {a1, a2}, {a1, a2, a3}, {a1, a2, a3, a4}, ... {a1, a2, a3, a4, ..., an}}
예를 들어 튜플이 (2, 1, 3, 4)인 경우 이는
{{2}, {2, 1}, {2, 1, 3}, {2, 1, 3, 4}}
와 같이 표현할 수 있습니다. 이때, 집합은 원소의 순서가 바뀌어도 상관없으므로
{{2}, {2, 1}, {2, 1, 3}, {2, 1, 3, 4}}
{{2, 1, 3, 4}, {2}, {2, 1, 3}, {2, 1}}
{{1, 2, 3}, {2, 1}, {1, 2, 4, 3}, {2}}
는 모두 같은 튜플 (2, 1, 3, 4)를 나타냅니다.
특정 튜플을 표현하는 집합이 담긴 문자열 s가 매개변수로 주어질 때, s가 표현하는 튜플을 배열에 담아 return 하도록 solution 함수를 완성해주세요.
[제한사항]
s의 길이는 5 이상 1,000,000 이하입니다.
s는 숫자와 '{', '}', ',' 로만 이루어져 있습니다.
숫자가 0으로 시작하는 경우는 없습니다.
s는 항상 중복되는 원소가 없는 튜플을 올바르게 표현하고 있습니다.
s가 표현하는 튜플의 원소는 1 이상 100,000 이하인 자연수입니다.
return 하는 배열의 길이가 1 이상 500 이하인 경우만 입력으로 주어집니다.
확실히 인턴십 코딩테스트이기에 2번 문제치고는 난이도가 어렵지 않은 문제였다고 생각합니다.
문자열을 잘 분해해서 숫자만 담아준 뒤 Counter를 사용해서 쉽게 풀 수 있었습니다.
answer = []
number=""
for i in s:
if i=="{" or i=="}" or i==",":
if len(number)!=0:
answer.append(int(number))
number=""
continue
else:
number+=i
저 같은 경우에는 연속되는 숫자를 처리해주기 위해서 다음과 같이 코드를 작성하였어요. number라는 빈 문자열을 선언해준 후, 문자열에서 반복문을 돌리며 숫자가 나올 경우에는 해당 문자열에 쌓아놓고, '{',',','}' 가 나오는 경우에는 반복되는 숫자가 끝난 것이기에 number 문자열에 쌓여있던 숫자를 형변환 후 answer에 추가시켜주는 식으로 코드를 작성했습니다.
파이썬에서는 모듈을 많이 아는 것이 힘! 이라고 말씀드린 적 있는데요. 이 문제 역시 counter를 통해 위 과정에서 생성된 answer배열에서 빈도수가 많은 순서대로 answer를 변환해주면 편하게 기대하는 답안을 얻을 수 있었습니다.
answer_counter = Counter(answer)
answer=sorted(answer_counter, key=answer_counter.get, reverse=True)
밑에 있던 sorted를 잘 이해하시는 것이 중요합니다:)
from collections import Counter
def solution(s):
answer = []
number=""
for i in s:
if i=="{" or i=="}" or i==",":
if len(number)!=0:
answer.append(int(number))
number=""
continue
else:
number+=i
answer_counter = Counter(answer)
answer=sorted(answer_counter, key=answer_counter.get, reverse=True)
return answer
이 문제 역시 카카오의 단골 문제인 문자열 문제였는데요.
한번 풀어보시는 것을 추천드립니다.
읽어주셔서 감사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