TCP와 UDP 정리

kyu123·2025년 5월 14일
0

✅ 네트워크 엔지니어 관점에서 TCP와 UDP

🔸 TCP (Transmission Control Protocol)

📌 핵심 특성

  • 연결지향 (3-Way Handshake)
  • 세션 기반 통신
  • 순서 보장, 재전송, 흐름제어, 혼잡제어
  • 헤더가 크고 오버헤드 존재

📌 실무 포인트

  • 방화벽 정책 설정 시 세션 기반 추적 가능
    → 연결 시작/종료 파악 쉬움 (stateful inspection)
  • 트러블슈팅 시:
    • 패킷 덤프에서 SYN, ACK, RST, FIN 등 TCP 플래그 확인
    • 3-way handshake 중단되면 연결 불가 (ex: 중간 방화벽 차단)
  • QoS 적용에 적합 (트래픽 제어 명확)
  • TCP 세션 timeout 조절 필요 (장시간 연결 시)

📌 사용 예시

  • HTTP/HTTPS (웹서비스)
  • FTP (파일전송)
  • SMTP (메일전송)
  • SSH (원격접속)

🔸 UDP (User Datagram Protocol)

📌 핵심 특성

  • 비연결성 (세션 없음)
  • 순서 보장 없음, 손실 허용
  • 빠른 응답성, 오버헤드 낮음
  • 헤더 작음 (8바이트)

📌 실무 포인트

  • 방화벽 설정 시 주의:
    → 세션 기반 추적이 어려움 → stateless policy로 예외 필요
    → 예: DNS 요청 허용은 가능하나 응답을 못 받는 문제 발생할 수 있음
  • 트러블슈팅 시:
    • tcpdump, Wireshark에서 일방향 흐름처럼 보일 수 있음
    • 재전송 없음 → 손실 발생 시 서비스 불안정
  • QoS 적용 어려움 (세션 기반이 아니므로)
  • 실시간 서비스에 적합 (지연보다 속도 중요)

📌 사용 예시

  • DNS (빠른 쿼리 응답)
  • VoIP (지연 민감)
  • 온라인 게임 (패킷 손실 감수)
  • DHCP (주소 할당)

✅ 네트워크 장비 기준 비교 (방화벽, 스위치, 라우터)

항목TCPUDP
방화벽 세션 추적가능 (stateful)제한적 (stateless 고려 필요)
정책 설정연결 기반 제어 쉬움포트기반 허용 필수
트러블슈팅 난이도쉬움 (플래그 추적 가능)어려움 (손실/지연 원인 추적 불명확)
성능 최적화QoS, 세션 타임아웃 설정 필요지연 최소화 필요

✅ 현장 예시

  • TCP: 웹 서비스 접속 안 될 때
    3-way handshake 캡처로 확인
    → 중간 장비 차단 여부 확인

  • UDP: VoIP 끊김 현상
    → 패킷 손실률 확인
    → 방화벽/ISP 구간 MTU or NAT 세팅 확인


✅ 요약

  • TCP: 신뢰성, 보안 중심. 트래픽 제어 및 정책 설계에 유리
  • UDP: 속도와 지연 최소화 중심. 실시간성 요구 서비스에 필수
  • 네트워크 엔지니어는 장비 특성 + 프로토콜 특성 모두 고려해서 설정/트러블슈팅 해야 함
profile
네트워크 공부 기록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