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방화벽이 있는데도 IPS를 사용하는 이유
🔹 방화벽(Firewall) 역할
- 트래픽 흐름 제어
- 기본적으로 "어디서 → 어디로, 어떤 포트로" 들어오는 트래픽을 허용/차단
- L3~L4(일부 L7 포함) 수준의 접근 제어 수행
- 예시: 내부 PC → 외부 443포트 허용, 외부 → 내부 80포트 차단 등
❗️하지만 패킷 내용까지 검사하지는 않음
🔹 IPS (Intrusion Prevention System) 역할
- 패킷 내부까지 분석하여 공격을 실시간 탐지/차단
- L7 애플리케이션 계층까지 검사 (서명 기반 또는 행위 기반)
- 악성 코드, 익스플로잇, SQL 인젝션, 제로데이 공격 등 방화벽으로는 못 막는 위협 차단
- 패킷 단위로 딥 패킷 인스펙션(DPI) 수행
✅ 방화벽 vs IPS 비교
항목 | 방화벽 (Firewall) | IPS (침입 방지 시스템) |
---|
주요 역할 | 접근 제어 (출입 통제) | 콘텐츠 분석 및 공격 탐지/차단 |
동작 계층 | L3~L4 (일부 L7) | L4~L7 |
예시 차단 기준 | IP, 포트, 프로토콜 | 패킷 내용, 공격 서명, 트래픽 패턴 |
탐지/차단 방식 | 룰 기반 (정적) | 룰 + 시그니처 + 이상행위 기반 (동적) |
탐지 예시 | 특정 포트 접근 차단 | 웹쉘, 버퍼 오버플로우, 랜섬웨어 통신 탐지 |
실시간 차단 여부 | 가능 | 가능 (일부는 IDS처럼 탐지만 하기도 함) |
✅ 실무 예시
- 🔐 방화벽: 외부에서 내부 서버의 SSH 포트 접근 차단
- 🧠 IPS: 허용된 HTTP 요청 중에 XSS, SQL Injection 탐지 및 차단
✅ 왜 둘 다 필요할까?
- 방화벽만으로는 정상적인 포트로 침투하는 비정상 행위 탐지가 어려움
- IPS는 방화벽을 통과한 정상 포트의 비정상 트래픽을 탐지하여 2차 방어 수행
- 특히 요즘은 HTTPS 트래픽을 통한 공격도 많아, SSL 복호화 후 IPS 분석이 중요
✅ 결론
방화벽은 “누가 들어오는지”를 통제
IPS는 “무엇이 들어오는지”를 검사
따라서 둘은 보완 관계이며, 서로 다른 공격 벡터를 방어합니다.
기업 보안에서는 방화벽 + IPS + (필요시 IDS, APT) 구성으로 다계층 보안을 설계합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