알맹이만 바꾸는거 -> SPA스프링이 돌아갈때 톰캣이 돌아가고있다.톰캣+스프링을 WAS(웹어플리케이션서버)라고한다.우리는 WAS만 써서 개발하고있는데, 실제로 그렇진 않다.물리적인 서버가 있고 거기에 WAS가 돌아가고 있다. 그러면 너무 무겁다.유저가 있고 WAS가 있
헤로쿠 가입을 한다create new app 을 통해 새로운 app을 만든다https://devcenter.heroku.com/articles/deploying-spring-boot-apps-to-heroku 을 통해서 Spring Boot Applicatio
Whether you’re saying you learned something or learnt something, you’re talking about the same thing—the process of finding out, acquiring, or retaini
Regular expressions are extremely useful in extracting information from any text.in doing...in -ing can be replaced to When but how to choose between
자바개발자인데, 디비를 이용해서 프로그램을 만들고 싶다면 반드시 필요한 라이브러리가 JDBC이다.디비에서 시퀄문을 직접 작성할수있고 서버에 접속하기 위해서 MySQL Workbench 같은 프로그램을 쓴다.그런데 시퀄을 작성할 수 없는 사람들도 데이터베이스를 이용할수있
처음엔 파일이라는 개념이 나왔다. 하지만 더 많은 데이터를 관리하기 위해서 데이터베이스가 나왔다.데이터베이스를 관리하는 프로그램을 MySQL, Oracle 등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나 MongoDB 같은 Document 모델이 나왔다,그런데 엑셀같은 스프레드시트를 사용해서
스프링을 쓰기 전에는 개발자가 프로그램의 흐름을 제어하는 주체였다.스프링에서는 프로그램의 흐름을 프레임워크가가 주도하게 된다.그래서 IoC라는 개념을 쓴다.객체간의 의존성을 내가 아닌 외부에서 주입하는 개념이다.클래스 내에 필요한 다른 객체를 직접 생성해주면 코드를 수
객체가 가지고 있는 속성과 타입이 같다면 동일한 객체로 비교하고 싶다.예를 들어서, 지난 체스 만드는 미션에서 체스말에서 체스말들을 그런식으로 비교하고 싶을 수 있다동일성(==) 비교는 객체가 참조하고 있는 주소값을 비교한다.그래서 속성과 타입이 같아도 참조값이 다르면
Try with Resources, 미션 PR 잘읽히는 것 VS 잘 안읽히는 것, 람다식 작성하는 법을 알기전에, Optional을 배우기전에