멀티엑세스를 위한 네트워크, LAN과 비슷하게 두 개 이상의 장비를 네트워크에 동시에 연결
X.25의 패킷 전송기술을 고속데이터 통신에 적합하도록 개선한 프로토콜
X.25 : 네트워크 선로가 좋지 않을 때 개발된 네트워크, 많은 에러 처리 기능 포함
에러처리 때문에 통신에서 오버헤드가 높다
프레임 릴레이는 네트워크 선로가 좋은 환경에서 등장, X.25의 에러처리 단순화
-> 오버헤드 감소
특징 : 상위계층에서 오류복구, 재전송, 경로설정 가능, 전송지연 감소
망 내부기능 단순화, 하나의 물리적 링크에 복수의 논리적인 가상 회선 설정
망과 단말 사이의 PVC 마다 DLCI를 설정한다
단순한 데이터처리 절차만을 규정한다
기본 프로토콜 구조 : Flag - Address - Information - FCS - Flag
Flag는 프레임을 구분, FCS는 프레임의 에러를 검색하여 에러가 발생한 프레임은 제거된다
제어 프로토콜 구조 : Flag - Address - Control - Information - FCS - Flag
제어부가 존재하여 에러제어 및 흐름제어 기능을 수행한다
전이중과 반이중 통신 모두를 지원하는 비트 지향 프로토콜, 점대점 및 멀티포인트 링크를 위해 ISO에서 개발
특징 : 동기식 전송, 오류 제어를 위해 GO-Back-N ARQ 및 선택적 재전송 ARQ 방식을 사용
흐름제어를 위해 슬라이딩 윈도우 방식 사용
프레임내에 제어 정보인 명령과 응답을 이용하여 연속적인 정보전송
명령은 상대방에 대한 데이터링크의 설정, 데이터 전송, 종료지시
응답은 명령에 대한 실행 결과
사용하는 문자코드와 상관이 없으며 비트삽입에 의해 투명한 데이터의 전송을 보장한다
정보 프레임 : 사용자 데이터 전달
감독 프레임 : 흐름 및 에러제어
무번호 프레임 : 회선설정, 유지, 종결
시작플래그 - 주소 - 제어 - 정보 - FCS - 종료플래그
시작플래그 : 프레임 양 끝의 범위를 정한다, 끌과 시작을 나타내는 플래그로 하나씩 사용
수신기는 프레임 시작을 동기화하기 위해 계속적으로 플래그 조사
주소 : 프레임을 송수신하는 부 스테이션을 식별, 일반적으로 8비트 사용
7비트의 배수 확장 사용 가능, 1111 1111은 모든 부 스테이션에 방송
제어 : 형식이 다른 프레임을 정의, 정보(사용자를 위한 데이터 전송),
감독(피기백이 사용되지 않는 ARQ), 번호 없는(보조 링크 제어 기능)
첫 번째의 한 비트 혹은 두 비트가 종류 식별
정보 : 정보 프레임과 번호없는 프레임에 존재, 8비트의 배수로 사용
가변적인 길이
FCS : 에러 검출, 16비트 CRC, 선택적으로 32비트 CRC를 사용
가상회선을 사용하는 비동기 통신기술,
첫번째 패킷이 전솔될 때 송신자와 수신자간에 최적의 전송경로 확정
이후 포워딩만 수행하므로 속도가 빠르며 안정적으로 전송한다
특징 : 비동기 전송모드 사용, 멀티미디어 전송과 데이터 전송 가능
IP헤더 없이 53바이트의 고정길이 셀이라는 ATM 전용 회선 사용
가상 경로 설정과 연결형 모드로 빠른 데이터 전송이 가능하다
셀 전송시에 우선 순위 기능 부여, 네트워크 품질 향상