Exploratory Data Analysis , EDA 는 데이터를 다양한 관점에서 탐색적으로 분석하는 것을 뜻한다.
위 데이터프레임을 출력하면 147개의 column을 확인할 수 있었다. 맨 끝의 7개가 기본정보를 포함하고 있어 인덱싱 해주었다.
df = pd.read_csv('downloads/young_survey.csv')
bi = df.iloc[:, 140:]

나이 정보를 violinplot 으로 보고싶다.
	sns.violinplot(data = bi, y = 'Age')

*성별에 따른 나이 정보를 violinplot 으로 보고싶다. 
sns.violinplot(data = bi, x = 'Gender', y = 'Age')

성별, 손잡이 에 따른 나이 정보를 보고싶다. 이럴 경우 hue 를 추가한다. 
	sns.violinplot(data = bi, x = 'Gender', y = 'Age', hue = 'Handedness')

산점도 와 동시에 히스토그램 역시나 보고싶다. 이럴 경우 jointplot 을 사용한다. 	sns.jointplot(data = bi, x = 'Height', y = 'Weight')
설문 조사에서 음악 선호도 관련 정보를 추출한다. (인덱싱 > corr() 함수)
df = pd.read_csv('downloads/young_survey.csv')
music = df.iloc[:, :19]
sns.heatmap(music.corr())
heatmap 으로 확인한 결과이다.

음악 정보가 아닌 나이 column 만 추출해서 상관관계를 살피는 방법도 있다. (corr() 함수, [ ] 사용)
df.corr()['Age'].sort_values(ascending = False)

나이정보는 완전히 일치하고, 그 다음으로 몸무게와 선거정도가 있다. 나이가 들어가며 쇼핑이나 과거에 대한 후회는 하지 않는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