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항해99] 사전 학습 I - 웹 개발 종합반 2주차

kyuu·2022년 10월 24일
1

항해99

목록 보기
2/19
post-thumbnail

항해99 2주차 항해일지 회고록 <2>

| 웹개발 종합반 - 2주차

📍 수업 목표

  • Javascript 문법에 익숙해진다.
  • jQuery로 간단한 HTML을 조작할 수 있다.
  • Ajax로 서버 API(약속)에 데이터를 주고, 결과를 받아온다.

(1) Jquery와 Ajax

  • jQuery를 이용해 Javascript로 HTML을 쉽게 제어하고, Ajax를 이용해 다시 서버에 데이터를 요청하고 받아보기

✏️ Jquery란?

  • HTML의 요소들을 조작하는, 편리한 Javascript를 미리 작성해둔 라이브러리
  • 짜여져있는 소스코드를 가져와서 사용하는것임으로 쓰기전 임포트 과정이 필요함
    (ex - Javascripts) document.getElementById("element").style.display = "none";
    (ex - Jquery) $('#element').hide();
  • css와 동일하게 대상을 가리켜야함 CSS의 선택자가 class였다면, Jquery는 'id'값을 통해 지정함

*) Jquery 예시
(1) input 박스의 값 가져오기
$('#Url).val(); // ID값이 Url인 곳을 가리키고, val로 값을 가져옴

(2) div 보이기/숨기기
// id 값이 post-box인 곳을 가리키고, hide()로 안보이게 한다.
$('#post-box').hide();

// show()로 보이게 한다.
$('#post-box').show();

(3) 버튼/카드 넣기
let temp_html = <button>추가 버튼</button>;
$('#cards-box').append(temp_html);

let temp_html =

..
;
$('#cards-box').append(temp_html);

Jquery 연습문제 풀어보기

<!doctype html>
<html lang="ko">

<head>
    <meta charset="UTF-8">
    <title>jQuery 연습하고 가기!</title>

    <!-- JQuery를 import 합니다 -->
    <script src="https://ajax.googleapis.com/ajax/libs/jquery/3.4.1/jquery.min.js"></script>

    <style type="text/css">
        div.question-box {
            margin: 10px 0 20px 0;
        }
    </style>

    <script>
      function q1() {
        let value = $('#input-q1').val();
        if (value == '') {
          alert('입력하세요!');
        } else {
          alert(value);
        }
            // 1. input-q1의 입력값을 가져온다. $('# .... ').val() 이렇게!
            // 2. 만약 입력값이 빈칸이면 if(입력값=='')
            // 3. alert('입력하세요!') 띄우기
            // 4. alert(입력값) 띄우기
        }

        function q2() {
          let email = $('#input-q2').val();

          if (email.includes('@')){
            alert(email.split('@')[1].split('.')[0]);
/*
            let domain = email.split('@')[1];
            let Onlydomain = domain.split('.')[0];
            alert(Onlydomain);*/
          } else {
            alert('이메일 형식이 아닙니다!');
          }
        }

      // 1. input-q2 값을 가져온다.
      // 2. 만약 가져온 값에 @가 있으면 (includes 이용하기 - 구글링!)
      // 3. info@gmail.com -> gmail 만 추출해서 ( .split('@') 을 이용하자!)
      // 4. alert(도메인 값);으로 띄우기
      // 5. 만약 이메일이 아니면 '이메일이 아닙니다.' 라는 얼럿 띄우기

        function q3() {
        let name_list = $('#input-q3').val();
        if (name_list == '') {
          alert('이름을 입력바랍니다.');
          return;
        }
          let temp_html = `<li>${name_list}</li>`;
          $('#names-q3').append(temp_html);
        }
            // 1. input-q3 값을 가져온다. let txt = ... q1, q2에서 했던 걸 참고!
            // 2. 가져온 값을 이용해 names-q3에 붙일 태그를 만든다. (let temp_html = `<li>${txt}</li>`) 요렇게!
            // 3. 만들어둔 temp_html을 names-q3에 붙인다.(jQuery의 $('...').append(temp_html)을 이용하면 굿!)


        function q3_remove() {
          $('#names-q3').empty();
            // 1. names-q3의 내부 태그를 모두 비운다.(jQuery의 $('....').empty()를 이용하면 굿!)
        }

    </script>

</head>

<body>
    <h1>jQuery + Javascript의 조합을 연습하자!</h1>

    <div class="question-box">
        <h2>1. 빈칸 체크 함수 만들기</h2>
        <h5>1-1. 버튼을 눌렀을 때 입력한 글자로 얼럿 띄우기</h5>
        <h5>[완성본]1-2. 버튼을 눌렀을 때 칸에 아무것도 없으면 "입력하세요!" 얼럿 띄우기</h5>
        <input id="input-q1" type="text" /> <button onclick="q1()">클릭</button>
    </div>
    <hr />
    <div class="question-box">
        <h2>2. 이메일 판별 함수 만들기</h2>
        <h5>2-1. 버튼을 눌렀을 때 입력받은 이메일로 얼럿 띄우기</h5>
        <h5>2-2. 이메일이 아니면(@가 없으면) '이메일이 아닙니다'라는 얼럿 띄우기</h5>
        <h5>[완성본]2-3. 이메일 도메인만 얼럿 띄우기</h5>
        <input id="input-q2" type="text" /> <button onclick="q2()">클릭</button>
    </div>
    <hr />
    <div class="question-box">
        <h2>3. HTML 붙이기/지우기 연습</h2>
        <h5>3-1. 이름을 입력하면 아래 나오게 하기</h5>
        <h5>[완성본]3-2. 다지우기 버튼을 만들기</h5>
        <input id="input-q3" type="text" placeholder="여기에 이름을 입력" />
        <button onclick="q3()">이름 붙이기</button>
        <button onclick="q3_remove()">다지우기</button>
        <ul id="names-q3">
            <li>세종대왕</li>
            <li>임꺽정</li>
        </ul>
    </div>
</body>

</html>

(2) 서버-클라이언트 통신(JSON) 이해하기

  • JSON은 Key:value로 이루어지며, 자료형 딕셔너리와 매우 유사한 구조

  • 클라이언트→서버 : GET 요청 이해

✏️ GET 방식으로 데이터를 전달하는 방법

? : 여기서부터 전달할 데이터가 작성된다는 의미
& : 전달할 데이터가 더 있다는 뜻

예시) google.com/search?q=아이폰&sourceid=chrome&ie=UTF-8

(3) Ajax 활용하기

  • ajax 기본 골격
$.ajax({
  type: "GET", // GET 방식으로 요청한다.
  url: "여기에URL을입력",
  data: {},// 요청하면서 함께 줄 데이터 (GET 요청시엔 비워둠)
  success: function(response){ // 서버에서 준 결과를 response라는 변수에 담음
    console.log(response) // 서버에서 준 결과를 콘솔에 출력함
  }
})

👉 GET 요청은, url뒤에 아래와 같이 붙여서 데이터를 가져감
http://naver.com?param=value¶m2=value2

👉 POST 요청은, data : {} 에 넣어서 데이터를 가져감
data: { param: 'value', param2: 'value2' },

2주차 과제 - 팬명록 만들기 + 서울시 날씨(온도) API 호출 과제 결과물

<script>
    $(document).ready(function () {
        $.ajax({
            type: "GET",
            url: "http://spartacodingclub.shop/sparta_api/weather/seoul",
            data: {},
            success: function (response) {
                /*                console.log(response)*/
                let temp = response['temp']
                $('#temp').text(response['temp'])
            }
        })
    });
</script>

<body>
<div class="mytitle">
    <h1> 백예린(SQUARE) 팬명록</h1>
    <p> 현재 기온 : <span id="temp">00.00도 </span></p>
</div>

10월 24일 서울의 날씨는 7.66도 ! ❄

profile
엔지니어 꿈틀 개발자

1개의 댓글

comment-user-thumbnail
2022년 11월 10일

Cool~

답글 달기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