9일차 - git 사용법 (2)

밀레·2022년 10월 5일
0

코딩공부

목록 보기
31/135

순서 요약
(1) git init
(2) git ignore
(3) git config : 공용컴이 아닌 개인컴에서는 --global 지정해 딱 한 번만 config 한다.

그러면 개인컴에서는 매번 config 하지 않고 바로 add 해도 됨.


깃세팅

<작업폴더 생성>
cd..
mkdir

git init (깃.git이라는 투명한 폴더가 생김)
.gitignore 세팅 (.scss 등) -> 이후 작업 실시

<사용자 등록>
git config user.name 4* * w
git config user.email 4
* *w@naver.com

<브런치설정> "이거 내 작업이야! 내가 이 깃의 주인이야"
git branch -M main (나를 main이라고 불러!)
git branch subworker

<깃허브연결 - 공개된 곳에 업로드> "서버쪽에 깃허브 주소를 만들어 'origin'이라고 등록할게"
git remote add origin 깃허브주소 www.github.com/id/~~~


반복에 반복할 부분!

  • git add. 깃이그노어 제외 다 올려
    ex) git add index.html style.css (얘네들을 올려)

  • git commit -m "웹기능사 A완성(작업내역)"
    커밋에 주석 달기/ 주석이 생각의 프로세스(작업 내역)를 보여줌!

반복 반복

git add .
git commit -m "작업내역"
git add .
git commit -m "작업내역"
git add .
git commit -m "작업내역"
git add .
git commit -m "작업내역"
git add .
git commit -m "작업내역"

마지막으로 집에 가기 전에

  • git push origin main
    origin 주소의 main branch에 깃 올리기 (왜 'main'에 올리느냐? 메인에서 작업 내역 공유!)
    git push origin subworker
    origin 주소의 서브 branch에 깃 올리기

git status (깃상태 확인 / 상황을 알아야 에러를 잡지!)
git log (커밋 확인 / 너 무슨 작업했는지 상황 자료 내놔. 로그분석)

+)충돌나지 않게 항상 새것에다 만들고 지워버리세요(아직은)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