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티클 애널리스트] 티클 해외주식 서비스와 미니스탁, M-able의 비교

jean suh·2020년 9월 20일
0

티클리안 2기

목록 보기
3/5
post-thumbnail

안녕하세요, 티클리안 2기 애널리스트 서은빈입니다.

오늘은 티클의 투자 서비스인 해외 주식 서비스와 다른 해외 주식 서비스간의 비교 분석을 해 보려고 하는데요.

해외 주식 투자자를 타깃으로 집중적인 투자 서비스를 진행 중인, 요즈음 생긴! 신상! 서비스는 티클을 제외하고 세 군데가 있었습니다. 신한금융투자의 알파, 한국투자증권의 미니스탁, KB증권의 M-able이 그곳들인데요.

이 중에서 알파의 경우에는 티클과 같은 운용사에서 운용하고 있는 만큼 유사점이 훨씬 많을 것 같아 배제하고, 미니스탁M-able을 가지고 티클과 붙여 둔 채 이모저모 뜯어보고자 합니다.

나에게 어떠한 서비스가 걸맞을지에 대한 한 줄 요약이 필요하시다면 막판 정리로 가시면 됩니다!

미니스탁

  • 한국투자증권 x 카카오뱅크

미니스탁한국투자증권에서 만든 해외 주식 투자 애플리케이션 입니다. 천 원의 소액으로도 주식 투자가 가능하다는 점을 셀링 포인트로 내세우고 있죠.

저는 미니스탁을 세 가지 포인트에서 티클과 비교해 보고자 했습니다.

  • 충전 시스템 (어떻게 돈을 가지고 오지?)
  • 무엇을 어떻게 살 수 있지? 수수료는?
  •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직관성과 안정성

충전 시스템

(어떻게 돈을 가지고 오지?)

  • 티클: 저금통
  • 미니스탁: 한국투자증권 입금 계좌 - 카카오뱅크와 연동해 입출금 절차를 간소화 할 수 있음

이 부분은 티클의 특수성 때문에 넣게 되었는데요.

바로 티클에는 "잔돈 저축" 기능이 달려 있기 때문입니다.

티클에서는 기존에 가지고 있던 저축된 잔돈을 통해 바로 투자 할 수 있기 때문에 돈을 매번 투자하기 위해 송금해야 하는 불편을 줄여 줍니다.

더 많은 돈을 투자하고 싶다면 송금하는 방법도 있겠지만, 절차가 간편해진다는 장점이 있습니다.

미니스탁은 카카오뱅크와 연동 시 살짝 더 간편해지는 장점이 있으니 주거래 은행이 카카오뱅크인 분들은 참고해 보시면 좋을 듯해요.

무엇을 어떻게 살 수 있지?

  • 티클: 미국 유망한 주식 / 최소 주문 금액 4, 약 5000 원 (4$가 원화로 얼마인지 안 나와 있어서 머릿속으로 계산해야 한다는 점이 불편) / 하나씩 결제해야 함 / 수수료 매수 매도 0.25 % / 환율 우대 없음, 1% 수수료 붙음 (신한금융투자 알파 기준)

  • 미니스탁: 다양한 섹터의 미국 주식, 주린이를 위한 추천 포트폴리오 제공 / 최소 주문 금액 1천 원 / 장바구니에 담고 한 번에 결제 가능 / 수수료 매수 매도 0.25 % / 우대환율 매수 60% 매도 80%

티클아무것도 모르는 사람이 봐도 우량하다 느껴지는 주식들이 있어 선택의 폭을 좁혀 줍니다. 초심자에게 많은 선택지는 오히려 독 이 될 때가 있죠. 티클은 그걸 보완해 주더라구요. 그런데 최소 주문 금액이 4 달러라는 것이 약간은 벽일 수 있겠어요. 4달러가 최소 금액이라고 표시해 주지만, 현재 원달러 환율로 얼마인지를 알려 주지는 않습니다. 개별 주식 창에서 매수를 진행해야 한다는 점도 약간의 불편한 점일 수 있겠어요.

보다 알아볼 자신이 있고, 최소 금액이 적은 돈으로 나만의 포트폴리오를 구성하고 싶은 사람이라면 미니스탁이 도움될 것 같아요. 그런데 오히려 선택지가 많고, 주린이라면 들어 본 적 없는 주식들이 있다 보니 어벙벙해지는 상황이 있을 것도 같습니다. 장바구니에 여러 주식을 담아 결제할 수 있는 점은 꽤 쇼핑 같은 점이었어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 티클: 주가 변화 하루 안의 시간 단위로도 볼 수 있음, 5년과 전체까지 있어 매우 다양 / 딜레이 약간 / 1:1 고객센터 소통이 가능!

  • 미니스탁: 주가 변화 일 단위가 최소, 3년까지 / 사용자의 관점에서는 미니스탁이 안정성 더 좋았음. 미국의 로빈후드 앱 벤치마킹의 느낌. / 문의 사항이 잘 나와 있기는 하지만, 전화로 문의해야 함

티클에서 가장 좋았던 것은 분 단위로 주가를 확인할 수 있다는 거였어요. 5년에서 전체까지 주가 파악이 가능했기 때문에 상당히 폭이 넓었구요.

반면 미니스탁은 가장 작은 단위가 하루 단위였고, 최대 3년까지 파악이 가능했어요. 화학주나 건설 분야 같은 경우 3년 단위일 때 이 기업이 어떠한 흐름을 가지고 있는지 알기에 부족할 수도 있죠.

미니스탁의 앱 안정성은 뛰어나 보였어요. 어떤 버튼을 눌러도 작동에 딜레이가 없었지만, 티클에서는 무언가 작성 시 딜레이를 잠시 느낄 수 있었죠. 문의 사항의 구성도 미니스탁이 훨씬 디테일했어요. 대신 티클에는 1:1 문의 기능이 달려 있어 평일에는 바로바로 상담이 가능했습니다.

M-able(마블)의 글로벌 원마켓

M-able, 이하 마블KB증권에서 만든 주식 투자 애플리케이션으로, 국내 주식만 서비스하다 2019년 해외 주식 서비스인 글로벌 원마켓 서비스 를 출시했는데요.

저는 미니스탁과 똑같이, 마블의 글로벌 원마켓을 세 가지 포인트에서 티클과 비교해 보고자 했습니다.

  • 충전 시스템 (어떻게 돈을 가지고 오지?)
  • 무엇을 어떻게 살 수 있지? 수수료는?
  •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의 직관성과 안정성

충전 시스템

(어떻게 돈을 가지고 오지?)

  • 티클: 저금통
  • M-able: KB증권 입금 계좌

충전 시스템에 대해서는 아까와 같이, 저금통 기능이 큰 힘을 발휘할 것 같아요.

특히 KB증권을 기존에 이용하던 분이라면 모르겠지만, 증권사 계좌 개설을 티클 가입 때 했던 사람들은 해당 계좌를 그대로 사용할 수 있기 때문에 새로운 계좌 개설에 대한 부담이 적습니다.

무엇을 어떻게 살 수 있지?

  • 티클: 미국 우량주 / 최소 주문 금액 4 달러 (약 5000원) / 한 주식당 매수 가능 / 수수료 0.25% / 환전 수수료 없음, 약 1% 수수료 / 매도시 달러 환산
  • M-able: 국내, 미국 비롯 해외 6개국 주식 투자 가능 / 해당 주 1주부터 투자 가능 / 한 주식당 매수 / 수수료 미국 0.25%, 기타 상이 / 환전 수수료 없음 / 매도시 원화 환산

M-able은 원화를 통해 미국, 일본, 중국, 홍콩, 베트남의 주식을 구매할 수 있었어요. 이 점이 가장 큰 차이가 아닐까 해요. 그리고 1주 단위 매수와 매도가 가능했습니다. 환전 수수료는 따로 없었고, 거래 수수료는 미국 기준 0.25 %였어요. 매도 시 자동 환전된 원화예수금이 계좌로 입금된다고 하네요. 달러 거래가 불가능하다는 이야기입니다.

티클은 원화를 통해 구매할 수 있었고, 미국의 유망주들 위주로 몇 가지를 투자할 수 있었어요. 그리고 소수점 매매를 통한 소액 투자가 가능했죠. 환전 수수료는 환율 우대 없음, 1% 수수료 붙음 (신한금융투자 알파 기준)이었고, 달러가 계좌로 입금되기 때문에 추후 매수 시에도 달러로 진행할 수 있었어요.

애플리케이션과 서비스는?

  • 티클: 주가 표기 매우 다양 (시간 / 1년 / 5년 / 전체) / 친절한 느낌, 약간의 딜레이 시간 있음 / 쇼핑하는 듯 직관적 / 문의 사항이 상세하지는 않지만 1:1 고객센터 소통이 가능!
  • M-able: 두 가지 디스플레이 제공 (주린이용, 전문 투자자용) / 기존 KB 계열사의 앱 느낌, 딱 요즘 금융권 앱 같다는 느낌 (보안 프로그램 때문인지 약간의 딜레이) / 직관성이 덜해 익숙해질 필요 있음 / 초보자 가이드가 있지만 읽기 불편, ARS 서비스 제공

M-able은 "주식 앱"이라고 했을 때 떠오르는 이미지를 그대로 담고 있어요.
물론 다른 증권사 앱에 비해서 깔끔한 편이고, 기존 KB 계열사의 금융서비스 사용자라면 친숙한 느낌 을 가질 수 있기도 해요. 주린이용 인터페이스와 전문 투자자용 인터페이스가 따로 있다는 점도 재미있는 포인트였어요.

부족한 직관성이 단점이지만, 많은 정보를 한눈에 들어올 수 있게 해 준다는 장점이 있죠. 깔끔하지만 약간 올드해 보일 수 있는 인터페이스는 덤일 수도 있겠어요. 직관성이 덜한 편이라 행동을 바로 이끌어내지는 않고, 머리로 생각한다음 절차를 밟아야 해요.

또한 은행 / 카드 앱을 사용하면서 느껴지는 딜레이 등의 특유의 불편함이 그대로 있었어요. 초보자 가이드는 기본적으로 "초보자"를 위한 것인데, 회사 매뉴얼을 읽는 기분이 들었습니다. 대신 ARS 서비스 제공으로 번호 몇 번 작동했을 때 간편한 조회는 가능할 수 있었어요.

티클매수 창도 쇼핑하는 것처럼 직관적 이고, 아이콘 등으로 친절하고 젊은 층의 아이덴티티를 표현한다는 것이 느껴졌어요.

딜레이가 분명 존재했지만, 다른 은행 / 카드 앱만큼은 아니었어요. 문의 사항이 상세하지는 않아도 바로 1:1 문의를 넣을 수 있기 때문에 보완점이라고 여겨졌습니다.

막판 정리!

간편하게 투자하고 싶고, 내가 모은 잔돈 모음으로 가볍게 투자 하고 싶은 해외 주식 주린이들은 티클을,

명확하게 투자하고 싶은 미국 관련 주식이 있고, 포트폴리오를 내 입맛대로 구성해 빠르게 담고 싶은 주식 중급자들은 미니스탁을,

M-able을 사용하고 있던 기존 사용자 이거나, 미국의 유망주 이외에도 홍콩이나 다른 기타 해외 국가의 주식을 이용 하고 싶은 사람들은 M-able을 이용하게 될 것 같아요.

타겟팅에서 차이를 보이기 때문에, 자신이 어떠한 서비스에 걸맞은지에 따라서 입맛대로 결정하면 좋겠죠?

오늘 포스팅도 유익하셨다면 좋겠습니다. 그러면 다음 4주차, 마지막 포스팅으로 만나뵐게요!

profile
금융과 소비자의 경계를 푸는 주니어 서버 개발자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