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sl2 & 깃허브 1

charl hi·2021년 8월 10일
0

깃과 깃허브

목록 보기
1/6

윈도우의 파워셸 말고 내게 좀 익숙한 우분투로 윈도우 디렉토리에 있는 파일을 깃할 수 있는지 궁금해서 알아봄. 우분투 설치한 게 아깝기도 하고..

  • 내 wsl2의 깃상태 알아보기
  • 깃허브 계정과 repository 생성
  • 깃 사용법


wsl2에서 윈도우 디렉토리 접근

✨✨explorer.exe .

  • 현 저장소가 어디에 있는지 창이 뜬다.

  • ✨✨ 네트워크 > wsl$ > Ubuntu > home > lsy9680
    에 있다는 걸 알았다!

다른 디렉토리에서 가져온 파일을 wsl2에서 사용할 수 있는가?

  • 그렇다! 이클립스로 만든 .java파일이 든 폴더를 넣은 결과 편집도 가능하다 😊


내 깃 상태를 보자.

wsl2의 git의 username과 이메일주소를 알아보자

있는지 확인

git config --global user.name
git config --global user.email

lsy9680@DESKTOP-ME9D18N:~$ git config --global user.name
seungyle
lsy9680@DESKTOP-ME9D18N:~$ git config --global user.email
seungyle@student.42seoul.kr
lsy9680@DESKTOP-ME9D18N:~$

... 있었다. 와 얼마만이야

수정 및 생성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

바꾸었다.

깃 사용준비 완료!



깃허브 가입

계정이 두 개인데 하나를 선택하고 공부기록용으로 사용할 예정.

깃허브 new repository 생성

  • Create a new repository
  • repository의 이름을 잘 짓자.

LearningJava 라는 이름의 repository를 만들었다.

https://github.com/lecharl/LearningJava

가 내 코드가 저장될 장소! = remote repository이다.

💖깃 사용 단계

터미널에서 해당 프로젝트 경로에 들어가서

1. git init

: 현재 이 디렉토리에 git repository 생성

lsy9680@DESKTOP-ME9D18N:~/Tutorial2$ git init
Initialized empty Git repository in /home/lsy9680/Tutorial2/.git/
lsy9680@DESKTOP-ME9D18N:~/Tutorial2$

이 상태에서 git status를 하면

아직 올려놓지 않은 상태의 파일들이 있는 것을 알 수 있다. git add 를 하라고 말한다.

2. git add

: 변경될 파일을 storage에 올려놓기

  • git add -파일이름
    : 해당 파일을 올려놓기

  • git add .
    : 모든 파일을 올려놓기

-> 이 상태에서 git status를 하면

커밋할 변경된 파일들이다.

3.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 내 컴퓨터에 있는 local repository에 올려놓기

git commit -m "first commit"

그러면 이렇게 뭐라뭐라 뜬다.

4. git remote add origin <remote repository 경로>.git

: 내 컴퓨터가 어떤 remote repository에 파일을 올릴건데, 그 경로는 (위에서 언급한)
-> https://github.com/lecharl/LearningJava 이다!

  • remote repository인 origin을 추가할 건데, 그 주소는 <~>이다.

  • 주소를 가져오는 방법은

git remote add origin https://github.com/lecharl/LearningJava.git

5. git push -u origin master

: local repository에 commit한 파일들을 remote repository에 업로드(push)한다.

git push -u origin master

하면 깃허브 아이디(이메일주소 말고)와 비밀번호를 치라고 뜬다.

하면 성공!!

master 브랜치로 가야지 볼 수 있다.
처음에 main에서 아무것도 보이지 않아 몇십분 소모했다. (...)
하는 김에 README도 추가해 봄.

-> git log 하면



요런 방식도 있다!

생활코딩



노션에 예전에 정리했던 거 올려본다.




Re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