파워셸 & 깃허브2

charl hi·2021년 8월 10일
0

깃과 깃허브

목록 보기
2/6

우분투를 사용 중... wsl2는 가상머신을 이용해서
이클립스로 만든 파일을 우분투 디렉토리에 복사하고 어쩌면 용량은 배로 늘어나는 불편함에 파워셸로 푸쉬하려고 했다.

... 깃이 설치되지 않은 상태였다!!

윈도우용 깃을 설치하자.

  • 윈도우용 깃 설치
  • 깃 사용법 2 : clone을 이용한 push

윈도우용 깃 설치


깃 설정


1.

  • git --version
    : 깃 존재 및 버전 확인

2.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이메일주소
    : 사용자 지정. 큰따옴표는 없어도 되더라.

3. 해당 디렉토리에 가기

프로젝트들이 있는 여러 폴더가 있는 폴더 Java디렉토리에 접근한 상태

4.✨깃 클론

  • git clone 주소붙여넣기

  • README 파일을 처음부터 만들지 않았기에 empty다. 당황하지 말자! 성공적으로 가져왔다.

LearnJava폴더가 성공적으로 클론되었다.

5.

  • cd 클론한폴더명

: 클론한폴더에 들어가기

👀사실 상위폴더에 해야 하는데 잘못했다. 푸쉬할 폴더를 옮겨주겠다.

푸쉬할 폴더를 직접 옮기면

들어가 있다!

6.

  • git add 폴더명 또는 파일명
    : local repository에 옮기기

7.

  • git commit -m "커밋메세지"

-> git log 하면

8.

  • git push
    : remote repository에 올려놓기

신기하게도 파워셸에선 브라우저로 비번치라고 나온다.

완료되면

done !!

9. 터미널에서 확인하기

  • git log

끝에 origin/master 가 생긴다.

10. 깃허브에서 확인하기

🎉🎉🎉🎉




Ref.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