스마1장.스포츠 마케팅의 이론적 배경

Alex·2024년 4월 20일
0

시험1 : 19~23.p
-서비스, 브랜드
-4p 서술, 한계점
-4p 확장, s, B

1.스포츠 마케팅믹스(4PsB)

1) 스포츠 마케팅에 대한 접근방법

2) 스포츠 마케팅에서의 마케팅믹스

(1) 마케팅믹스의 개념

시험1 - 4P 서술

-미국마케팅협회는 마케팅은 개인과 조직의 목적을 충족시키는 교환을 창출하기 위해 아이디어, 제품 및 서비스 개발, 가격 결정, 촉진 및 유통을 계획하고 실행하는 과정이라고 정의
-마케팅기업의 과업은 고객을 위한 가치를 창조, 소통, 전달하기 위해 마케팅 활동을 고안하고 통합된 마케팅 프로그램을 조합하는 것.
-매카시는 마케팅 활동을 4개의 마케팅 믹스 수단으로 분류
1제품 Product - 문제해결
2가격 Price - 가치
3장소 Place - 접근
4촉진 Promotion - 정보
-4P는 구매자에게 영향을 미치기 위해 이용되는 마케팅 도구를 판매자의 입장에서 본 것. 구매자의 입장에서 볼 때 마케팅 도구는 고객에게 이점을 전달해야 함
-이러한 맥락에서 최근 마케팅 활동은 고객을 중심으로 하여 보조적인 활동으로 분류되어, 위의 4가지 차원(SIVA)과 그에 대응되는 고객의 문제에 응답하도록 설계됨.

(2) 마케팅믹스의 확장

시험1 - 4P 한계점

-전통적으로 마케팅믹스의 요소는 4P's로 표현
-마케팅의 변화에 따라 여론형성(Public opinion formation)과 정부관계노력(Politics) 등도 중요한 마케팅믹스 수단으로 간주되어,
필립 코틀러의 견해와 같이 메가 마케팅믹스의 경우 6P's(Public Opnion, Politics 추가)로 확장함
-마케터는 자사의 마케팅환경에 따라 새로운 마케팅믹스 요소를 창출해야함.
-서비스마케팅믹스의 경우 유형제품에 적용되는 People, Physical Evidence, Process를 추가하여 7P's로 표현
-세스 고딘은 새로운 마케팅 수단으로 Remarkable(혁신적인 제품을 창조하고 그런 제품을 열망하는 조기수용자 집단을 공략)의 개념을 강조, 이를 Purple Cow로 대신 표현
-끊임없이 변화하고 외부환경의 영향을 많이 받을 수 밖에 없는 마케팅 환경때문에 기존의 4Ps 개념으로 시장의 모든 부분을 설명하기 제한됨.

(3) 스포츠 마케팅믹스(4PsB)

시험1 - 브랜드

-시장 상황에 따라 4Ps의 개념을 확장하기 위해 5,6,7Ps 등으로 확장.
-그러나 책에서는 전통적 마케팅믹스를 통합해서 추구해야 할 브랜드 관리의 개념을 도입.
-마케팅 전략 수립 목적이 궁긍적으로는 기업의 내부적 가치 또는 외부적 이미를 관리하기 위한 브랜드 관리에 귀결되기 때문
-마케팅믹스를 연구하고 실무에 적용하기 위해서는 브랜드라는 큰 틀 안에서 스포츠마케팅믹스 전략을 이해해야함
-브랜드 정체성은 제품,가격,유통,촉진 등의 마케팅 변수에 의해 보다 구체화됨, 즉 소비잘들은 기업이 의도한 브랜드 이미지를 형성하고 이는 마케팅믹스 변수들이 브랜드 자산 구축과 밀접한 관계가 있기 때문

시험1 - 서비스

-스포츠마케팅 전략에 있어 제조업 분야보다 더욱 중요성을 차지하는 것이 서비스와 관련된 활동
-경쟁성이 심화되고 있는 상황에서 기업은 고객의 욕구변화에 시의적절하게 반응해야 하고 서비스 제공 여부가 기업전략에 우선하여 고객들에게 전달되기 때문에 대중관계에 대한 중요성이 크게 인식됨

시험1 - 4P확장(s,B)

-스포츠 마케팅에 있어 스포츠 경기, 입장료, 경기 시기와 장소, 관중과의 의사소통 등을 통해 발전을 이루기 위해서는,
마케팅의 4P에 브랜드라는 요인을 부가하여 4PsB(4P+Service+Brand)의 개념을 이해하는 것이 중요
-스포츠 마케팅의 주요 관심사는 무형의 서비스 영역이 대부분 차지하기에 마케팅믹스는 4PsB로 이해되야 함.
-필립 코틀러는 서비스믹스를 마케팅믹스와 관련된 영역에서 이해하며, 서비스품질 등이 논문에서도 주요 키워드이므로 스포츠 서비스에 대한 관심 필요
-실무에서도 제품 없이 서비스만 하는 기업 많음 ex) FIFA, IOC
-전통적인 관점에서의 마케팅 믹스 : 제품,가격,장소or유통,촉진. 그러나 내부적 가치와 외재적 이미지를 다루고 있는 스포츠 서비스를 통해 보완해하며 이런한 모든 노력은 제품에 국한하지 않는 기업 전체의 브랜드 관리차원에서 이루어져야 함.

  1. 스포츠 산업의 개념 이해
    1) 스포츠 산업의 정의
profile
Engineering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