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개발을 하다보면 정말 간단하고 쉽게 할 수 있는 기능이지만 조금 번거로울 때가 있습니다.. 그렇게 개발에 도움되는 라이브러리들을 모아서 공유해보고자 합니다.
프로젝트 진행하면서 Recoil 이라는 라이브러리를 알게되었습니다.Redux도 같이 알아보려 하였지만, 현재의 소규모 프로젝트에서 Recoil 의 도입이 조금 더 쉽다고 생각하였기에 바로 학습 해보았습니다.일반적으로 React의 상태관리는 useState 를 많이 사용
그래프는 뭘까요.. 노드들끼리 무규칙 적으로 연결되어있는 형태라고 생각되는데요.지하철 노선도, 고속도로 등등 일상생활 속에 많이 찾아볼 수 있습니다.
useQuery를 사용하여 정적인 이벤트의 실행하여 api를 호출하는데 성공하였다...
🌲 Binary Search Tree (이진 검색 트리) BST의 경우 root node를 기준으로 작은 값은 왼쪽 자식 노드, 그렇지 않은 값은 오른쪽 자식 노드로 자리를 차지하게 됩니다. 노드의 연산 노드를 다루기위한 연산 중 삽입, 삭제, 탐색이 있겠습니다
개발 용어라든지 여러 서비스들에 좀 많이 무지하기 때문에 용어정리겸 블로그 운영 겸 끄적대봅니다. 지식에 한도는 끝이 없습니다. CI/CD (Countinuous Integeation / Continuous Deployment) 지속적 통합 / 지속적 배포 Amp