데이터와 사용자의 데이터 관리 영역을 명확하게 분리하기 위함
1. 데이터 베이스 시스템의 자기 기술성
→ 데이터와 데이터의 정의 및 설명(메타데이터)을 포함하고 있다.
2. 프로그램과 데이터의 격리 및 주상화
→ 불필요한 데이터 접근을 막고, 사용자에게 데이터에 대한 개념적 표현을 제공해 접근성을 향상한다.
3. 다중 뷰 제공
→ 사용자가 관심을 갖는 데이터베이스의 일부만 표현하여 제공한다. (접근성 향상)
4. 데이터 공유와 다수 사용자 트랜잭션 처리
→ 다수의 데이터 조작 요청에서 데이터의 일관성을 보장하면서 동시작업이 가능하다.
1. 데이터 종속의 문제
저장된 데이터가 특정 하드웨어 또는 사용자 및 소프트웨어에서만 사용될 수 있도록 제한되는 문제로 물리적 데이터 종속과 논리적 데이터 종속이 있다.
2. 데이터 중복의 문제
동일한 사항에 대해 중복 데이터가 저장되면 일관성, 보안성, 경제성 측면에서 문제가 발생한다.
일관성 : 한 사실에 대해 한 개의 데이터 값을 유지
보안성 : 같은 데이터에 같은 수준의 보안 유지
경제성 : 데이터에 대해 최소한의 저장 공간 만을 점유
3. 무결성 훼손의 문제
데이터의 정확성을 보장하고 값에 대한 제약조건(데이터가 가질 수 있는 가능 범위)을 동시에 만족해야한다. → 파일 시스템은 데이터 무결성을 보장하기 위한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
4. 동시 접근의 문제
동일 데이터에 다수의 사용자가의 접근을 허용할 경우 일관성이 훼손된다. → 파일 시스템은 동시 접속을 제한하는 기능을 제공하지 않는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