오늘은 layout마지막 수업. 이때까지 배운 관련 속성들로 실습을 하였다.
메뉴페이지html
관련 html코드는 위의 깃허브링크에 걸어두었다.
html,body{margin: 0;
padding: 0;}
ul{list-style: none;
margin: 0;
padding: 0;}
a{color: #000000;
text-decoration: none;}
위의 css코드는 항상 기본으로 작성해 놓는다.
.menu ul{
overflow: hidden;
background-color: pink;}
.menu li{
/*display: inline-block;*/
float: left;
/*border: solid 1px red;*/
border-top: solid 1px red;
border-bottom: solid 1px red;
border-left: solid 1px red;
(그냥 border: 를 선택하게 되면 상하좌우 모두 선택하게게 되는 것.)
border-top: solid 1px red;
border-bottom: solid 1px red;
border-left: solid 1px red;
마지막은 가상선택자로 설정
.menu li:last-child{
border-right: solid 1px red;}
- 버튼의 높이가 정해져 있는 경우
line-height: 50px;
- 버튼의 높이가 정해져 있지않는 경우
padding-top: 15px;
padding-bottom: 15px;
.menu li a{
display: block;
text-align: center;
padding-top: 15px;
padding-bottom: 15px;
a의 영역을 넓히는 방법이다.
카카오친구html
관련 html코드는 위의 깃허브링크에 걸어두었다.
margin과 padding를 잘 설정하기
✨하이라이트!✨
.kakao-lists li img, .kakao-lists li .kakao-info{ vertical-align: middle;}
이미지 자체가 inline-block. kakao-info를 dispaly:inline-block으로 하여 가능.
네이버페이지html
관련 html코드는 위의 깃허브링크에 걸어두었다.
💖tip
브라우저마다 설정이 달라 간혹 출력값이 다르게 나올 수 도 있다. 그럴때는 '크롬-검사'로 margin과 padding값을 확인한다.
.title-wrap .btn-wrap{
display: flex;
flex-direction: row;
flex-wrap: nowrap;
justify-content: space-between;
align-items: center;
align-content: stretch;}
뉴스 상단의 css속성
flexbox
위의 링크의 내용을 참고하여 작성할 수 있다.
상위html문서들의 css
상위 html문서들의 css코드는 깃허브링크를 참조.
개념을 실제 적용에 부족함이 있다는 것을 파악했다. 결국은 공부가 부족했다는 뜻... 더 뒤쳐지기 전에 전반적인 복습이 필요함을 절실하게 느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