그래프는 여러 개의 점(정점)들이 선(간선)으로 연결된 구조예요. 예를 들어, 여러 도시가 길로 연결된 지도를 떠올려보면 돼요. 각각의 도시는 정점이 되고, 도시를 연결하는 길은 간선이 돼요. 이 그래프에서는 각 도시마다 연결된 길이 몇 개인지, 길이 어느 방향으로 가는지, 길을 지날 때 드는 비용 등을 고려할 수 있어요.
이번에는 방향과 비용을 잠시 빼고, 모든 정점(도시)들을 어떻게 탐색(방문)할 수 있는지 알아볼게요.
1번 도시에서 출발해서 최대한 멀리 가보고 더 이상 갈 곳이 없으면 돌아와서 다른 길로 가는 방식이에요. 이 탐색 방법은 스택(Stack)이라는 자료구조를 사용하거나, 재귀 함수를 통해 구현할 수 있어요.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DFS {
public static int V, E;
public static boolean[] visited;
public static LinkedList<Integer>[] nodeList;
public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정점의 개수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간선의 개수
// 각 정점별로 인접한 정점리스트를 만듭니다.
nodeList = new LinkedList[V + 1];
for (int i = 1; i <= V; i++) {
nodeList[i] = new LinkedList<Integer>();
}
// 간선 입력받기
for (int i = 0; i < E;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ode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ode2 = Integer.parseInt(st.nextToken());
nodeList[node1].add(node2);
nodeList[node2].add(node1);
// 같은 레벨일 때 낮은 숫자를 먼저 탐색하도록 정렬합니다.
Collections.sort(nodeList[node1]);
Collections.sort(nodeList[node2]);
}
visited = new boolean[V + 1];
dfs(1); // 1번 정점부터 탐색 시작
System.out.println(sb);
}
public static void dfs(int node) {
visited[node] = true;
sb.append(node + " ");
for (int nextNode : nodeList[node]) {
if (!visited[nextNode])
dfs(nextNode);
}
}
}
입력 예시
7 6 // 정점 수, 간선 수
1 2
2 3
1 4
4 5
4 6
5 7
출력 예시
1 2 3 4 5 7 6
이 예제는 도시들(nodeList)을 연결하고, 방문한 도시는 기록(visited 배열)하며 재귀적으로 탐색해 나가는 방식이에요.
BFS는 시작 정점과 가까운 정점부터 차례로 방문하는 방식이에요. 예를 들어, 1번 도시에서 출발하면 그와 연결된 2번과 4번을 먼저 탐색해요. 그다음에는 2번과 4번 도시와 연결된 도시들을 차례로 방문해요.
이 방법은 정점의 거리가 가까운 순서로 탐색하므로, 큐(Queue)라는 자료구조를 사용해요. 큐는 먼저 들어온 것이 먼저 나가는 자료구조예요.
import java.io.BufferedReader;
import java.io.IOException;
import java.io.InputStreamReader;
import java.util.ArrayDeque;
import java.util.Collections;
import java.util.LinkedList;
import java.util.Queue;
import java.util.StringTokenizer;
public class BFS {
public static int V, E;
public static boolean[] visited;
public static LinkedList<Integer>[] nodeList;
public static StringBuilder sb = new StringBuilder();
public static void main(String[] args) throws IOException {
BufferedReader br = new BufferedReader(new InputStreamReader(System.in));
StringTokenizer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V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정점의 개수
E = Integer.parseInt(st.nextToken()); // 간선의 개수
// 각 정점별로 인접한 정점리스트를 만듭니다.
nodeList = new LinkedList[V + 1];
for (int i = 1; i <= V; i++) {
nodeList[i] = new LinkedList<Integer>();
}
// 간선 입력받기
for (int i = 0; i < E; i++) {
st = new StringTokenizer(br.readLine());
int node1 = Integer.parseInt(st.nextToken());
int node2 = Integer.parseInt(st.nextToken());
nodeList[node1].add(node2);
nodeList[node2].add(node1);
// 같은 레벨일 때 낮은 숫자를 먼저 탐색하도록 정렬합니다.
Collections.sort(nodeList[node1]);
Collections.sort(nodeList[node2]);
}
visited = new boolean[V + 1];
bfs(); // BFS 탐색 시작
System.out.println(sb);
}
public static void bfs() {
Queue<Integer> queue = new ArrayDeque<>();
queue.add(1); // 1번 정점부터 시작
visited[1] = true;
while (!queue.isEmpty()) {
int node = queue.poll(); // 큐에서 하나를 꺼냄
sb.append(node + " ");
for (int nextNode : nodeList[node]) {
if (!visited[nextNode]) {
queue.add(nextNode);
visited[nextNode] = true;
}
}
}
}
}
입력 예시
7 6 // 정점 수, 간선 수
1 2
2 3
1 4
4 5
4 6
5 7
출력 예시
1 2 4 3 5 6 7
이 예제는 큐를 이용해서 정점의 가까운 순서대로 차례로 탐색해 나가요.
DFS와 BFS는 그래프의 모든 정점을 탐색하는 방법이에요. 둘 다 모든 정점과 간선을 고려하기 때문에 시간 복잡도는 O(V + E)가 돼요.
어떤 문제를 풀 때 DFS와 BFS를 선택하는 기준이 있는데, 예를 들어 A에서 B까지 가는 모든 경우의 수를 찾는 문제는 DFS를 쓰고, A에서 B까지의 가장 빠른 길을 찾는 문제는 BFS를 쓰는 게 좋아요.
하지만 문제마다 다를 수 있기 때문에 여러 문제를 풀어보며 더 효율적인 방법을 찾는 것이 중요해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