WinSCP 다운로드 홈페이지에 들어가서 다운로드를 누른 후 WinSCP를 설치할 수 있다.중앙 하단의 DOWNLOAD WINSCP를 눌러 다운로드 받고 해당 파일을 실행하여 WinSCP를 설치하면 된다.(설치 과정에서 모두 디폴트 값으로 넘겨도 된다.)설치 완료 후
AWS Elastic IP 콘솔(https://ap-northeast-2.console.aws.amazon.com/ec2/v2/home?region=ap-northeast-2!\[](https://velog.velcdn.com/images/leesom
서버 개발을 하면서 가장 많이 고심했던 부분 중 하나는 Validation 처리였다. 따라서 이 부분에 대해 따로 정리하려고 한다.validation은 단어 의미 그대로 확인을 하는 것이다. 그렇다면 무엇을 확인하는 것일까? 정답은 데이터를 확인하는 것을 Validat
우리가 비밀번호를 잊어버렸을 때 크게 2가지 방법으로 계정에 재접근 가능하도록 한다.비밀번호 재발급비밀번호 찾기(까먹은 비밀번호 자체를 찾음)현재 대부분의 사이트에서는 1번 방법인 비밀번호 재발급을 하여 비밀번호를 재설정 후 계정에 재접근할 수 있도록 한다.비밀번호를
HTTPS 리다이렉션을 301번 http status code로 지정을 했다가스프링부트 작업 후 서버에 파일들을 올려서 Postman으로 작업을 하던 도중 문제가 발생하였다.로컬 환경에서 게시물 수정 관련 API를 실행했을 때는위와 같이 API가 성공적으로 수행된 것을
Query String이란 서버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혹은 클라이언트에게 무엇이 필요한지 묻는 문자열을 뜻한다.Query String은 key=value 형태로 나열되어 있으며, 여러 파라미터를 받아올 경우에는 &을 붙여 연결해준다.과 같이 ? 뒤에 key-value값
Provider에는 READ, DML로 치면 SELECT를 사용한 쿼리문을 가진 함수를 DAO에서 많이 불러온다. 그러니까 단순 조회이므로 트랜잭션을 처리할 때 @Transactional(readOnly = true)라는 어노테이션을 붙여 처리했다.API를 제작하고 테
로컬에서 카카오 소셜 로그인을 구현한 후 브라우저에서 테스트를 했다.그리고 다른 API까지 개발한 후 API 명세서 작성을 위해 오늘 제작한 API들을 postman으로 다시 돌려보고 있는데갑자기 에러가 발생하였다.인텔리제이 콘솔을 확인해보았더니KOE320 에러 코드가
카카오 공식 문서에 카카오 oAuth에 대한 설명이 친절하게 적혀있다. 이 OAuth를 Spring boot로 구현해보려고 한다. 물론 카카오 REST API 공식 문서에 친절하게 적혀있긴 하지만, 나중에 복습할 수 있도록 정리해두려고 한다. 1. 카카오 개발자 페이
HTTP(HyperText Transfer Protocol) 모든 형태의 데이터를 전송할 때 HTTP를 사용한다. 우리는 HTTP/1.1 버전을 사용한다. 이러한 HTTP/1.1의 특징에는 크게 네 가지가 있다. Client-Server 구조 무상태성(Statel
로컬에서 작업한 springboot 파일들을 원격 환경으로 업로드를 하고 빌드를 하려는데 다음과 같은 오류가 떴다.Permission denied라는 오류가 떴다.그래서 권한을 주기 위해 상위 디렉터리로 가서 chmod 명령어를 통해 권한을 줌으로써 해결하였다.
많은 IT 용어들은 영어 단어에서 유래되었다. proxy라는 용어 역시 영어 단어에서 유래했다. proxy의 사전적 의미는대리, 대리인, 대용물과 같이 무엇인가를 대신이라는 뜻을 가지고 있다.그럼 이 단어를 IT 쪽에 대입해보자.프록시(Proxy)는 두 PC가 통신할
WinSCP로 필요한 파일을 업로드하는 도중 에러가 생겼다.다음과 같은 에러인데, 로컬 환경에서 WinSCP 루트 디렉터리로 파일을 업로드를 눌렀는데, 권한 거부 메시지였다. 이 오류 해결 방법에는 두 가지 방법이 있다.WinSCP에서 업로드할 폴더 및 파일들을 선택하