백준을 풀면서 지금까지 가장 오래걸린거 같다... 틀리진 않았지만 시간초과 이슈를 해결하지 못해 오랫동안 고민을 했었다. 이 문제는 아래와 같은 내용이다.
외형 프록시란?? 탭바를 커스터마이징 하던 중에 for in 구문을 사용하여 모든 탭 바 아이템을 순회하면서 우리가 원하는 속성을 정의할 수 있었다. 하지만 코코아 터치 프레임워크는 전체를 순회하지 않고도 공통으로 속성을 적용할 수 있도록 보다 세련된 방법을 제공한다
이전에 해온 것들은 Request URI을 통해 REST API를 호출한 다음, 그 결과로 전달받은 데이터를 적절히 화면에 뿌려주는 것이었다.하지만 그것과는 다르게, 응답 값이 JSON이나 XML과 같은 단순 데이터가 아닌 HTML 기반의 웹 페이지일 경우는 어떻게 해
iOS 9부터 외부 네트워크 관련된 보안 규칙이 신설되었다. 이른바 App Transport Security, 줄여서 ATS라고 부르는 규칙이다.
가끔 함수의 반환 값이 꼭 필요하지 않은 경우도 있습니다. 프로그래머가 의도적으로 함수의 반환 값을 사용하지 않을 경우 컴파일러가 함수의 결과 값을 사용하지 않았다는 경고를 보낼 때도 있습니다.
📘 코드를 통한 내비게이션 바 생성 책과 여러 강의를 통해서 storyboard를 이용한 내비게이션 바 생성에 대해서 많이 경험해 보았지만 코드를 통해서 작성하는 것에 대한 내용은 접할 수 없었다. 그래서 한번 찾아보았다.
📕 CaseIterable protocol Apple Development Document A type that provides a collection of all of its values. enum의 value를 배열로 제공해준다 와 같은 예제는 caseIterable 프로토콜을 사용하면 와 같이 allCases 프로퍼티를 사용하여 편하게 나타낼...
iOS 개발 공부를 시작하면서 가장 많이 MVC 디자인 패턴을 접하게 되었는데, 이외에도 MVP, MVVM 패턴이 있다고 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