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Network] CDN 이란?

Hyunjun Kim·2025년 7월 18일
0

Computer_Science

목록 보기
10/19

CDN(Content Delivery Network)

웹 성능을 높이는 핵심 기술

CDN은 웹 콘텐츠를 전 세계 여러 지역에 분산된 서버에 저장하고, 사용자와 가장 가까운 서버에서 해당 콘텐츠를 제공하는 시스템이다.
이 방식은 웹사이트 로딩 속도를 높이고, 서버 부하를 줄이며, 서비스 안정성을 향상시키는 데 사용된다.


1. CDN이 필요한 이유

사용자가 한국 서버에 있는 웹사이트에 미국에서 접속한다고 가정하면, 물리적 거리로 인해 요청-응답 간 지연이 발생한다.
하지만 CDN을 도입하면 미국 내에 위치한 캐시 서버에서 바로 콘텐츠를 전달받을 수 있어 지연 시간을 줄일 수 있다.

즉, 사용자와 서버 간 거리를 최소화해 성능을 높이는 것이 CDN의 핵심 목표다.


2. 모든 웹사이트에 CDN이 필요할까?

그렇지는 않다. 다음과 같은 경우에는 CDN이 큰 효과를 기대하기 어렵다.

  • 트래픽이 적고
  • 사용자 위치가 특정 국가에 집중되어 있으며
  • 콘텐츠 변경 빈도가 낮은 웹사이트

반면, 아래 조건에 해당하는 경우 CDN 도입이 권장된다.

  • 글로벌 사용자 대상의 서비스
  • 이미지, 동영상, 정적 파일이 많은 서비스
  • 잦은 요청과 로딩 지연 이슈가 있는 사이트

3. CDN의 구성 요소

CDN은 보통 다음 3가지 구성 요소로 동작한다.

1) 오리진 서버 (Origin Server)

  • 웹사이트의 원본 콘텐츠가 저장된 서버
  • HTML, 이미지, 동영상, API 응답 등을 보관
  • 콘텐츠의 최초 저장 및 수정이 이뤄지는 중앙 서버

2) 엣지 서버 (Edge Server)

  • 전 세계에 분산된 CDN 공급업체의 캐싱 서버
  • 오리진 서버에서 콘텐츠를 받아 캐시에 저장
  • 사용자에게 가장 빠르게 콘텐츠를 제공

3) DNS 서버

  • 사용자 요청을 가장 가까운 엣지 서버로 연결
  • 위치 기반 라우팅 수행
  • 오리진 서버와 엣지 서버 간의 연결을 중계

4. CDN의 동작 방식

사용자가 웹사이트에 접속했을 때 CDN은 다음 순서로 동작한다.

  1. 사용자의 요청이 DNS 서버에 전달된다.
  2. DNS 서버는 사용자의 위치를 고려해 가장 가까운 엣지 서버의 IP를 응답한다.
  3. 엣지 서버는 해당 콘텐츠가 캐시에 있는지 확인한다.
    • 있다면 즉시 제공한다.
    • 없다면 오리진 서버에서 콘텐츠를 받아 캐시에 저장한 후 사용자에게 제공한다.
  4. 이후 동일한 콘텐츠 요청이 들어오면 엣지 서버에서 직접 응답한다.

5. CDN 도입 효과

  • 지연 시간 감소: 사용자는 물리적으로 가까운 서버에서 콘텐츠를 받는다.
  • 서버 부하 분산: 오리진 서버에 대한 직접 요청을 줄일 수 있다.
  • 서비스 안정성 향상: 공격이나 트래픽 급증 상황에서도 엣지 서버를 통해 분산 대응 가능
  • 전 세계 사용자에게 일관된 속도 제공

결론

CDN은 단순한 정적 파일 캐시 시스템을 넘어서, 현대 웹 아키텍처에서 중요한 역할을 한다.
전 세계를 대상으로 하는 서비스, 대용량 트래픽 처리, 빠른 응답 속도가 중요한 환경에서는 필수적인 인프라 구성 요소다.

profile
Data Analytics Engineer 가 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