다운로드 링크 에서 자신의 환경에 맞는 바이너리 다운로드
# x64
wget https://artifacts.opensearch.org/releases/bundle/opensearch-dashboards/2.4.0/opensearch-dashboards-2.4.0-linux-x64.tar.gz
# ARM64
wget https://artifacts.opensearch.org/releases/bundle/opensearch-dashboards/2.4.0/opensearch-dashboards-2.4.0-linux-arm64.tar.gz
압축 해제 (자신의 architecture 별로, 일반 EC2라면 x64)
# x64
tar -zxf opensearch-dashboards-2.4.0-linux-x64.tar.gz
# ARM64
tar -zxf opensearch-dashboards-2.4.0-linux-arm64.tar.gz
cd opensearch-dashboards-2.4.0
export OPENSEARCH_DASHBOARDS_HOME=$(pwd)
$OPENSEARCH_DASHBOARDS_HOME
사용.vi config/opensearch_dashboards.yml
server.host: $your_ec2_public_dnsname
server.port: 5601
opensearch.hosts: [http://localhost:9200]
opensearch.ssl.verificationMode: none
opensearch.username: kibanaserver
opensearch.password: kibanaserver
# opensearch.requestHeadersWhitelist: [authorization, securitytenant]
# opensearch_security.multitenancy.enabled: false
# opensearch_security.multitenancy.tenants.preferred: [Private, Global]
# opensearch_security.readonly_mode.roles: [kibana_read_only]
# Use this setting if you are running opensearch-dashboards without https
# opensearch_security.cookie.secure: false
opensearch.hosts 연결
실습을 위해서 https가 아닌 http 를 사용.security 플러그인도 삭제한다.
./bin/opensearch-dashboards-plugin remove securityAnalyticsDashboards
./bin/opensearch-dashboards-plugin remove securityDashboards
잘 삭제된 모습
디렉토리까지 삭제되었는지 확인해보자.
./bin/opensearch-dashboards
웹브라우저를 통해서 $your_ec2_public_dnsname:5601
로 접속한다.
$your_ec2_public_dnsname:5601/app/home
경로로 접속한다.앞서 배운 rollover 기능을 활용해서 한 종류의 데이터라도 index는 여러개가 생성될 수 있다. Kibana에서 인덱스 개별로 대시보드를 만들면, 라이프사이클이 끝나면 또다시 만들어야하는 번거로움이 있다.
보통 rollover 규칙과 같이 asterisk 를 넣은 인덱스 패턴을 생성하고, discover, visualize 에서는 해당 인덱스 패턴을 이용해서 검색하고 규칙을 정한다.
Stack Management > Index Patterns > Create Index Patterns
$indexprefix* 인덱스 pattern name을 설정하고 next step
*
로 묶이는 인덱스들은 유사한 schema를 가지는 것이 좋다.Time field 를 선택한다. Discover에서는 여기서 선택된 time field를 기준으로 정렬된다.
Create Index Pattern
index pattern이 생성되면, refresh 버튼을 한 번 눌러준다.
마지막을 Disover 탭에서 해당 인덱스 패턴으로 데이터가 보이는지 확인한다.
Discover 탭
필터링 바에서 + 를 누른 후
우측 상단에 Share 버튼
UI위주로 학습할 예정
Visualize
Dashboard