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Java] Java 기초 - 변수와 상수

Hyunjun Kim·2025년 3월 29일
0

Data_Engineering

목록 보기
13/153

4. 변수와 상수

본격적으로 Java에 대해서 배우겠습니다. 가장 먼저 배울 것은 변수와 상수입니다. 변수와 상수를 선언 하는 방법 및 어떤 의미를 가지는지 알아보겠습니다!

4.1 변수와 상수의 정의

(하이레벨 랭귀지의 대표적인 특징이 이름을 붙일 수 있다는 얘기가 이거다.)

변수와 상수가 무엇일까?

  • 변수 : 어떠한 데이터를 저장하기 위한 메모리 공간에 이름을 붙인 것. 지속적으로 변수의 값을 변경할 수 있다.
  • 상수 : 중간에 값이 변할 수 없으며 초기값을 끝까지 사용해야 한다.

4.2 변수와 상수의 선언

변수를 선언할 때는 [접근제어자] [변수의 자료형] [변수의 이름] 의 방식을 이용.
변수 선언을 할 때 값도 함께 선언하고 싶을경우에는 [변수의 자료형] [변수의 이름]=[값]의 방식을 이용.

(접근제어자에 대해서는 추후 짚어볼 예정)
접근제어자 - public, private, protected 같은 것들.
자료형 - 어떤 타입이냐

변수의 이름을 붙이는 규칙. Java에서는 CamelCase라는 규칙으로 이름을 선언하는 것을 defacto standard(사실상의 표준)으로 하고 있습니다. 첫 글자는 알파벳 소문자로, 그 이후에 단어의 단위마다 첫 글자만 대문자이고 나머지는 소문자인 단어를 붙여서 쓰는 방식이다

4.3. 변수와 상수 예제

4.3.1 예제 1- 변수

int num = 5; //정수형 변수 선언
System. out.println(num);
string str = "Hello Wprld!"; // 문자형 변수 선언
System.out.println(str);
str ="Goodbye World"; 1/ 이미 선언된 변수에 다른 값을 할당
System.out.println(str);

Java는 문장의 끝에 세미콜론을 사용해야 합니다! 그렇지 않을 경우 컴파일 오류가 발생합니다!

4.3.2 예제 2- 상수

final int num2 = 10: // 상수형 변수 선언 (final로 선언 가능)
System. out.println (num2);
num2 = 50; //오류 발생

코드를 실행하면 컴파일 에러가 발생한다.
이유는 final로 선언된 변수는 한 번 값이 할당되면 변경할 수 없기 때문이다.
따라서 num2 = 50;을 실행하려고 하면 문법적으로 허용되지 않아 컴파일 에러가 난다.

컴파일 에러란?

컴파일 에러(Compile Error)는 프로그래밍 언어의 문법적으로 잘못된 코드를 작성했을 때 발생하는 오류다.

  • 특징: 프로그램이 실행되기 전에 발생하며, 실행 자체가 불가능하다.
  • 확인 방법: build/classes 폴더에서 해당 클래스 파일이 생성되지 않는다.
  • 예: IntelliJ 같은 IDE에서 빨간 줄이 표시되며, 실행 전에 오류를 수정하도록 안내한다.

컴파일 에러는 실행 전에 수정할 수 있기 때문에, 코드 작성 중 IDE의 오류 표시를 잘 확인하는 것이 중요하다.

profile
Data Analytics Engineer 가 되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