ky 라이브러리란?
: HTTP 요청 처리를 위한 외부 라이브러리
fetch api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가볍고 강력하며,
axios 처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axios vs ky
axios
- json 데이터 자동 변환
- 요청과 응답에 대한 인터셉터 제공
- 외부 라이브러리이므로 설치 필요 => 의존성 증가
- 번들 크기가 상대적으로 큼
ky
- 번들 크기가 작음
- fetch를 기반으로 함
- API 디자인이 간결함
- 브라우저 환경에 최적화 되어있음
- axios에 비해 제공하는 기능이 상대적으로 적음
=> 두 라이브러리 모두 promise 기반으로 작동해
비동기 HTTP 요청을 쉽게 처리할 수 있게 해준다.
axios는 더 복잡한 요구사항이 있는 프로젝트에 적합하고,
ky는 현대적인 api를 제공해 간단한 웹 애플리케이션에 적합하다.
에러 처리
axios
- error.response : 서버 응답이 있는 경우
- error.request : 요청은 전송 되었지만 응답이 없는 경우
- error.message : 요청 설정 중 오류가 발생한 경우
- error.config : 요청 설정 정보
ky
- HTTPerror 인스턴스를 통해 에러 처리
- error.response를 통해 접근 가능