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빠르고 간결한 웹 프로젝트 개발 경험에 초점을 맞춰 탄생한 빌드 도구자바스크립트 모듈을 기반으로 함웹팩보다 더 빠르게 개발하고 배포할 수 있음vite는 번들링을 하지 않고 바로 서버를 실행하기 때문에 명령어를 실행함과 동시에 바로 서버가 구동됨번들러란?애플리케이션을 구

나는 리덕스를 계속해서 사용해왔지만 Redux-persist에 대해서는 잘 몰랐다.그런데 이번에 백엔드가 없는 프론트엔드만 있는 프로젝트를 만들면서새로고침하면 데이터가 다 사라지는게 익숙치 않아졌다.. ㅋㅋㅋ...평소엔 백엔드를 무조건 같이 구현하니까새로고침하면 get

오늘의 공부 vue 컴포넌트는 option API와 composition API 두 가지 스타일로 작성할 수 있다. vue를 접하며 중요한 주제인 것 같아 정리해본다! option API : vue 컴포넌트의 전통적인 방식 state의 행동을 정의하기 위해 data, methods, computed 같은 옵션들을 사용하는 것 장점 간단하고 이...

Next.js **Next.js는 리액트를 위해 만든 자바스크립트 웹 프레임워크로, 리액트에는 없는 SSR, CSR, ISR과 같은 기능을 제공**한다. 여기서! > 개발언어: 개발하기 위한 기본적인 도구, 컴퓨터가 이해하고 실행하기 위한 언어 > 프레임워크: 특정

리덕스를 배웠고, 사용하며 경험했지만이번 개발 때 사용하면서 많이 부족하다고 느꼈다..! 뭔가 엉성한 느낌..?그래서 리덕스를 다시 알아보려고 한다!여러 컴포넌트가 공유하는 상태를 관리하기 위한 라이브러리리액트 컨텍스트에 기반을 둔 라이브러리로, provider 컴포넌

말 그대로 javascript에 type을 부여하여 작성하는 언어이다근데 꼭 타입스크립트로 개발 할 필요가 있을까?꼭 타입을 지정해줘야만 할까? 1\. JavaScript and MoreTypeScript adds additional syntax to JavaScrip

React+typescript+next.js로 만든 프로젝트 이후,react 성능 최적화에 대해 공부하면 좋을 것 같아 남기는 글!캡슐화 될 수 있는 코드 블록을 찾는다! 특히 테이블 작성의 경우 TableHeader, TableRows등을 컴포넌트로 분리하면 좋다\-

main.py orr app.py 생성하기서버 실행시키기나의 경우에는 ./start_server.sh 를 실행시키게끔 했고, 그 안에 아래 구문을 넣었다.src.app: src경로에 있는 app.py 파일 (파이썬 모듈):app: app = FastAPI\--reloa

FastAPI는 가장 빠른 파이썬 프레임워크 중 하나로 간주되고,개발자가 유발하는 버그가 적고 빠르게 개발할 수 있다.성능이 높기로도 유명하다OpenAPI, JSON 스키마 등 제공이 있고비동기를 완벽하게 지원한다.그러나, 다른 프레임워크에 비해 새로워서 정보가 매우

FastAPI란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 중 가장 빠른 속도를 지닌 프레임워크이다. 속도와 개발 속도 모두 엄청 빠르다. operation FastAPI에서 operation은 HTTP의 method를 의미한다. post: 데이터 생성할 때 get: 데이터 얻어올 때 p

도커는 컨테이너 기술을 기반으로 한 일종의 가상화 플랫폼이다.가상화란, 물리적 자원인 하드웨어를 효율적으로 활용하기 위해 하드웨어 공간 위에 가상의 머신을 만드는 기술이고,컨테이너란, 컨테이너가 실행되고 있는 호스트 os의 기능을 그대로 사용하면서 프로세스를 격리해 독


Cadvisor cAdvisor는 구글에서 개발한 컨테이너 리소스 사용 및 성능 분석 도구이다. Container Advisor의 약자로, docker나 kubernetes와 같은 컨테이너 오케스트레이션 환경에서 사용된다. 각각의 컨테이너에 대한 리소스 사용 및 성능

언어모델은 말뭉치라고 하는 대량의 텍스트 데이터로부터 언어의 규칙과 패턴을 학습하여 새로운 문장을 생성하거나 이해하는 능력을 갖는다.LLM: 엄청난 양의 데이터와 파라미터로 pre-training(사전 훈련)을 시키고, 다양한 자연어 처리과정에 적용하기 위해 fine-

git : 내 로컬 저장소, 내 컴퓨터git hub : 내 컴퓨터가 아닌 원격 저장소 (like 구글 드라이브)\*\*즉, git != git hubgit과 git hub는 다르다!git hub은 git의 저장소를 웹에서 사용할 수 있도록 하는 커뮤니티 기능 서비스다.

모노레포 멀티레포 모노레포 : 다수의 프로젝트를 한 개의 레포지토리 내에서 관리하는 개발 전략 ↔ 전통적으로 각 프로젝트마다 별도의 저장소를 가지는 멀티 레포 방식과 대조된다. 통합적인 관점에서 코드의 일관성을 유지할 수 있다. 하나의 저장소에서 전체 코드베이스를

: 함수와 그 함수가 선언될 때의 렉시컬 환경(외부 변수 스코프)을 함께 기억하는 개념✅ 즉, 함수 안에서 외부 변수에 접근하고, 그 상태를 유지할 수 있는 기능: 한 객체의 상태가 바뀌면 그 객체에 의존하는 다른 객체들한테 연락이 가고, 자동으로 내용이 갱신되는 방식

: 모델 컨텍스트 프로토콜의 약자로, 애플리케이션이 대형 언어 모델에 컨텍스트 정보를 제공하는 방식을 표준화하는 개방적이고 보편적인 프로토콜이다.✅ 즉, 다양한 AI 모델이 다양한 데이터 소스와 도구에 표준화된 방식으로 연결할 수 있게 한다.\-> gpt가 2023년까

ky 라이브러리란? : HTTP 요청 처리를 위한 외부 라이브러리 fetch api를 기반으로 만들어져 가볍고 강력하며, axios 처럼 간편하게 사용할 수 있는 다양한 기능을 제공한다. axios vs ky axios json 데이터 자동 변환 요청과 응답에

react의 핵심 아이디어는 '현재 상태의 함수로 UI를 정의하는 것' 이다.💡 이는 개발자가 앱의 각 상태에 대한 UI를 선언적으로 정의하고,상태 변경 시 react가 자동으로 UI를 업데이트하는 방식을 의미한다.\-> 하지만 때로는 불필요한 렌더링이 발생하는 문제

인터넷 상에서 리소스(웹페이지, 파일 등)의 위치를 나타내는 고유한 주소스키마: 브라우저가 리소스를 요청하는 데 사용해야 하는 프로토콜권한(도메인/포트): 리소스에 접근하는 데 사용되는 기술적인 "게이트"리소스 경로: 웹 서버의 실제 파일 위치매개변수: 웹 서버에 제공

암호화: 읽을 수 없는 암호문으로 바꾸는 것복호화: 암호화된 암호문을 해독하는 것: 데이터 암호화 복호화에 하나의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이 때 필요한 암호화 키는 A와 B유저가 동일한 키를 사용하여,암호화된 문서를 열어볼 수 있는 비밀번호를 공유하는 것