프론트엔드 암호화/복호화

lionloopy·6일 전
0

오늘의 공부

목록 보기
22/22
post-thumbnail

암호화/복호화

  • 암호화: 읽을 수 없는 암호문으로 바꾸는 것
  • 복호화: 암호화된 암호문을 해독하는 것

대칭키

: 데이터 암호화 복호화에 하나의 동일한 키를 사용하는 암호화 방식
🔑 이 때 필요한 암호화 키는 A와 B유저가 동일한 키를 사용하여,
암호화된 문서를 열어볼 수 있는 비밀번호를 공유하는 것과 같다.

비대칭키

: 사용자가 공개키와 개인키라는 두개의 고유키를 갖는 데이터 암호화 방식

  • 공개키: 타인과 공유할 수 있는 키
  • 개인키: 비밀로 유지되어야 하는 키

두 키는 수학적으로 연결되어 있지만, 공개키만으로는 개인키를 유추할 수 없다.
🔑 공개키는 데이터를 암호화하는데 사용되고, 개인키는 이를 해독하는데 사용된다.

비교

대칭키

  • 키: 하나의 키로 암복호화
  • 속도: 빠름
  • 사용: 데이터 암호화
  • 클라이언트 예: AES.encrypt()

비대칭키

  • 키: 공개키/개인키로 분리
  • 속도: 느림
  • 사용: 키 교환, 인증
  • 클라이언트 예: RSA.encrypt()

🔑 실제 데이터(주민번호)는 대칭키로 암호화하고,
대칭키 자체는 RSA로 암호화해서 서버로 전송하는 구조가 일반적이다.

공개키 암호화

  1. 키 생성: 각 사용자는 공개키와 개인키 쌍을 생성한다.
  2. 암호화: 수신자의 공개키로 데이터를 암호화한다.
  3. 보호화: 수신자는 암호화된 메시지를 받아 개인키를 사용해 복호화한다.

참고

https://store-kr.dcentwallet.com/blogs/post/%EA%B3%B5%EA%B0%9C%ED%82%A4-%EB%8C%80%EC%B9%AD%ED%82%A4-%EC%95%94%ED%98%B8%ED%99%94-%EC%9D%B4%ED%95%B4%ED%95%98%EA%B8%B0

profile
기록은 담백하게, 성장은 빠르게! 🐘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