들어가는 글 🙋♀️ > 이번 글에서는 계층형 데이터를 API server에서 불러올 때 생겼던 문제와, 그래서 Recursive Query를 도입하여 속도 문제를 개선한 사례를 소개합니다. 계층형 데이터 구조는 왜 쓰게 되었는가? 계층형 데이터 구조는 말 그대로
백엔드 개발을 할 때, 서비스에 관련한 테이블 설계를 하다 보면 화면에 표출할 목적 또는 로깅의 목적으로 데이터의 입력 시간, 수정 시간, 삭제 시간 등을 저장하곤 한다. 이 때, 이러한 시간 데이터는 DateTime 타입의 컬럼에 저장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를 다뤄봤다면, 누구라도 Foreign Key의 존재와 그 용도를 알 것이다. 그리고 그 Foreign Key는 데이터의 무결성을 보장하기도 한다.그러나 웹 서비스에 테이블 설계를 하고 실제 개발을 하다보면, Foreign Key를 정말로 걸어주는 것
들어가는 글 🙋♀️ 파이썬 웹 프레임워크(Django, Flask) 등으로 웹 어플리케이션을 개발한다면, Gunicorn라는 용어를 한 번은 들어보게 된다. 도대체 Gunicorn이라는 것은 무엇인지, 실제 Gunicorn을 사용하는 이유와 사용하는 데에 있어 고
들어가는 글🙋♀️ 현대적으로 많은 데이터를 다루는 서비스 개발을 한다면, 페이지네이션이란 기능은 자연스럽게 개발 경험을 얻을 수 밖에 없는 기능이다. 기본적인 페이지네이션부터 응용을 해볼만한 페이지네이션 관련 기능을 해결한 사례를 들어보고자 한다. Paginati
그래도 주세요 service
python 3.8 빠이빠이
스프링 생태계도 함께 알아갔던 이번 프로젝트!