복원추출과 비복원추출을 '대충' 알고 있는경우가 많은것 같다.
겉할기 식으로 단어로 부터 추정하는 식으로 익혔다면 이번에 정확한 의미로
익혔으면 좋겠다. 물론 나또한 이번 게시물에서 자랑할만큼의 잘 알고있는것이 아니고
수많은 구글의 게시글들을 찾아보며 알게 된것을 공유할 뿐이다.
먼저 다음에 질문해보는것이 잘 알고있는지 아닌지 확인해볼 수 있을것 같다.
* 먼저 모집단이 있다고 가정한다.
1. 모집단에서 5개의 원소를 한번에 뽑고 A라는 표본으로 한다. 그리고 표본 A를 다시
모집단에 넣은 후 전체 모집단에서 5개의 원소를 한번 더 뽑고 B라는 표본으로 정의한다.
2. 모집단에서 5개의 원소를 한번에 뽑고 A라는 표본으로 한다. 그리고 모집단으로 다시 집어넣지 않고 모집단에서 5개의 원소를 뽑아서 B라는 표본으로한다.
3. 모집단에서 5개의 원소를 뽑는데 하나를 뽑을때마다 모집단에 돌려놓고 다시 뽑으면서 총 5개를 뽑고 표본 A라고 한다. 해당 과정을 한번 더 반복하고 표본 B라고 한다.
다음 3개의 경우의 수 를 보았을때 어떤것이 복원추출이고 어떤것이 비복원추출에 해당하는 것일까??
1번이 복원추출 2번이 비복원추출이라고 생각하시는 분들이 분명히 있을것이다.
하지만 복원추출은 3번이다!!
크기가 n개인 표본을 뽑는데, n개의 원소를 하나씩뽑는데, 원소를 하나 뽑을 때마다 복원하고, 다음 원소를 뽑는다
크기가 n개인 표본을 뽑는데, n개의 원소를 하나씩 뽑는데, 뽑을 때 마다 복원하지 않고 다음 원소를 뽑는다.
즉, 각각의 원소 하나를 뽑을때마다 복원을 하는지, 하지 않는지가 복원추출이냐, 비복원추출이냐를 구분하게 된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