수조

이종욱·2024년 2월 29일
0

ffmpeg -re -i /dev/video0 -c:v libx264 -c:a aac -ar 44100 -ac 1 -f flv rtmp://localhost/live/stream

URL 시작: 해당 프로토콜 ex.http://,rtmp:// 등등

php 서버? 모르겠다

-인코딩-
" 인코딩 작업에 평균 CPU 사용률이 80% 를 넘을 경우 출력 영상의 품질이 나빠질 수 있습니다. 만약 CPU 부하로 인해 송출 중인 영상이 계속 끊기거나 버벅인다면 출력 해상도나 비트레이트를 줄이는 것이 좋습니다 "
어...라?

-송출-
" 경험상 인터넷 업로드 대역폭은 출력 비트레이트의 두 배 이상 확보되는 것이 안정적이며, 만약 송출 중인 영상이 계속 끊기거나 버벅일 경우 출력 해상도와 비트레이트를 낮춰주면 출력 품질 개선에 도움이 될 수 있습니다. "

-HLS-
사실상 latency의 주범
DASH?로 바꿔? 아님 rtmp-hls 대신 rtmp-rtmp로 바꿀까

-동영상 플레이어-
" HLS 형식은 모바일 단말이라면 안드로이드, 아이폰 구분 없이 내장된 플레이어를 통해 문제없이 재생할 수 있습니다. 다만 Windows PC에서 HLS를 재생하려면 별도의 외부 플레이어가 필요합니다. "

크로스 도메인?

원본 영상 → 라이브 인코더 → 미디어 서버 → 전송 서버(CDN)(선택) → 동영상 플레이어 → 시청자

  1. 해상도, 비트레이트, 청크 조작해서 연결 안정성 높이기
  2. HLS 딜레이 너무 김 => rtmp-rtmp, DASH 형식?
  3. 외부공인IP 포트포워딩 아 이거 모르겠다

프레임 처음 위치 나타내는 헤더: 프리앰블(Preamble)
전송 에러 체크 해더: FCS

수신지: 웰노운 포트 or 요청 받는 포트
송신지: 아무 동적포트
예를 들어 외부포트 55555, 내부포트 8088?

파일서버: 사실상 stream.m3u8도 파일이니까 영상도 파일임

HTTP 웹서버 소프트웨어: 아파치, IIS, nginx
사실상 아파치(동적페이지 강함)와 nginx(정적페이지 강함) 둘 중 하나
한 대의 컴퓨터에 여러 서버 가능: 메일 서버, 웹 서버, DNS 등등

데이터베이스 서버 소프트웨어: MySQL, SQL Server
CDN 역할: 웹 컨텐츠를 빠르게 전송하기 위해 최적화된 웹서버 네트워크(오리진, 에지 서버로 구성)
FTP 서버: vsftpd(리눅스), ProFTPD(리눅스), IIS(윈도우)
근데 클라이어트 소프트웨어 필요: FFFTP, FileZila 등

<명령어로 네트워크 상태 확인>
ipconfig/ifconfig: IP 주소나 서브넷 마스크 등 네트워크에 관한 설정 표시
ping: ICMP 제어 데이터 송수신
tracer/traceroute: 특정 IP 주소 경로 확인
arp: arp 테이블 정보 표시
nslookup: DNS를 사용한 이름 결정
netstat: 연결 정보 또는 경로 정보, 패킷 수 등

네트워크 및 서버 개념(간략)

포트별 프로토콜

ARP: MAC 주소 관리 및 제어
NAT/NAPT: 라우터 IP주소변환
IGP/EGP: 경로 제어 프로토콜
기본 게이트웨이: 관문(개념적), 미지의 패킷이 가는 곳(원래)
SDN을 컨트롤플레인/REST API로 여러 라우터 관리 및 제어
ICMP: 통신상태 확인하는 프로토콜
Telnet -> SSH (암호화 기능 추가)
HTTP -> HTTPS (암호화 기능 추가,SSL)
FTP -> SCP/SFTP
SSL -> TLS(표준 설계, 둘 간 호환성은 없음)

서버

온프레미스, 클라우드 2가지

클라우드 구조 서비스:
1.IaaS: 랙, 하드웨어, OS까지 제공
2.PaaS: 미들웨어까지 제공
3.SaaS: 애플리케이션까지 다 제공
DaaS: 원격접속으로 운영 관리

데이터센터 구조
1.호스팅: 랙, 하드웨어까지 제공
2.하우징: 랙만 제공

가상화 서버 관리 기술(컨테이너 엔진인 도커)


여러 개의 도커는 쿠버네티스로 관리

AWS, 마이크로소프트 애저, 구글 클라우드(AI나 빅데이터 해석에 유용)
*AWS에서는 EC2(Elastic Compute Cloud,가상서버본체) 등의 가상 서버를 인스턴스라고 함. + 로드밸런서(트래픽 부하에 대응하는 프록시 서버)

profile
안녕하세요!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