https://www.youtube.com/watch?v=2Yi_Jse_7JQ&t=3398s위 자료를 참고했다.요즘들어 데이콘을 통해 공부를 하는 중인데, catboost 모델이 자주 사용되길래 관련 영상을 찾아 공부해봤다.내가 이해한대로 정리한거라 오류가
https://www.youtube.com/watch?v=l-hh51ncgDIhttps://velog.io/@minjujuu/%EC%9D%B8%EA%B3%B5%EC%A7%80%EB%8A%A5-Min-max-tree위 자료를 참고했다.https:
https://www.sdc-korea.com/생애 첫 컨퍼런스다.원래 대면으로 갈까 하다가, 일정 문제로 인해.. (취준 미워 ㅠ)비대면으로 컨퍼런스를 듣게 되었다.난 아직 학사 졸업도 안 한 입장이기에, 발표 내용을 완전히 이해하기는 어려웠지만,다양한 도메
https://www.youtube.com/watch?v=lIT5-piVtRw&t=215s위 자료를 참고했다.https://velog.io/@ljwljy51/Decision-Tree-Model위 글과 내용이 이어진다.앙상블이란, 여러 베이스 모델들의
https://www.youtube.com/watch?v=xki7zQDf74Ihttps://www.youtube.com/watch?v=2Rd4AqmLjfU&t=2shttps://ratsgo.github.io/machine%20learning/
https://www.inflearn.com/course/%EC%9A%B4%EC%98%81%EC%B2%B4%EC%A0%9C-%EA%B3%B5%EB%A3%A1%EC%B1%85-%EC%A0%84%EA%B3%B5%EA%B0%95%EC%9D%98/dashboard위
https://www.youtube.com/@hanyoseob/videos위 자료를 참고했다.이번 것도 모델 구조 자체가 어렵진 않으나, 프레임워크화하는 부분에 있어 좀 헤맸던 것 같다.특히 오류가 좌라락 뜨는 경우, 어딜 해결하면 다른 데서 오류 뜨고 ..
https://www.inflearn.com/course/%EC%9A%B4%EC%98%81%EC%B2%B4%EC%A0%9C-%EA%B3%B5%EB%A3%A1%EC%B1%85-%EC%A0%84%EA%B3%B5%EA%B0%95%EC%9D%98/dashboard위
위 자료를 참고했다.논문 링크: https://arxiv.org/abs/1609.04802빠르고 깊은 CNN을 사용함으로써 super-resolution task의accuracy와 속도가 향상될 수 있었음그러나, 여전히 upscaling factor를 크게 줬
https://www.youtube.com/@hanyoseob/videos위 자료를 참고했다.이번에는 특정 이미지 Input에 대한 inpainting, denoising, super-resolution task를 수행할 수 있는 Image Regression
https://www.inflearn.com/course/%EC%9A%B4%EC%98%81%EC%B2%B4%EC%A0%9C-%EA%B3%B5%EB%A3%A1%EC%B1%85-%EC%A0%84%EA%B3%B5%EA%B0%95%EC%9D%98/dashboardht
드으디어 UNet 구현이 끝났다.모델 구조가 간단한 편임에도 불구하고, 막상 구현하려니 복잡하더라..모델 구현 그 자체보다도, 학습 코드랑 Inference 코드를 짜는 부분,모델을 특정 조건에서 저장/로드하고, 데이터 전처리도 다르게 적용하고,tensorboard를
이 논문은 모델 구조 등만 간단히 파악하는 정도로만 읽을거다.Data augmentation에 기반한 학습 전략 및 네트워크 제시매우 적은 이미지로 end to end로 학습시킴으로써 ISBI challenge(segmentation of neuronal structu
https://ko.wikihow.com/%EC%9A%B0%EB%B6%84%ED%88%AC%EC%97%90%EC%84%9C-%ED%94%84%EB%A1%9C%EA%B7%B8%EB%9E%A8-%EC%82%AD%EC%A0%9C%ED%95%98%EB%8A%94-%E
https://www.inflearn.com/course/%EC%9A%B4%EC%98%81%EC%B2%B4%EC%A0%9C-%EA%B3%B5%EB%A3%A1%EC%B1%85-%EC%A0%84%EA%B3%B5%EA%B0%95%EC%9D%98/dashboardht
https://www.inflearn.com/course/%EC%9A%B4%EC%98%81%EC%B2%B4%EC%A0%9C-%EA%B3%B5%EB%A3%A1%EC%B1%85-%EC%A0%84%EA%B3%B5%EA%B0%95%EC%9D%98/dashboard위
https://89douner.tistory.com/298https://www.youtube.com/watch?v=fWmRYmjF-Xw&t=100s위 자료를 참고했다.한동안은 위 유튜브 영상들의 과정을 따라가면서 공부할듯!ISBI 2012 EM seg
지금까지는 원격 서버에서 작업을 할 때 주피터 workspace에 직접 들어가서 터미널 등을 조작해 작업을 해왔다. 그러나,vscode와 ssh를 통해 원격 서버 접속 및 작업을 할 수 있다고 해서, 어제 관련 작업을 하고
PaDiM: a Patch Distribution Modeling Framework for Anomaly Detection and Localization