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상대경로를 사용하여 /usr/bin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결과를 pwd 명령어로 확인

pw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위치를 출력한다.
cd: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위치를 변경한다. 즉, 원하는 디렉토리로 이동한다.
- /../usr/bin : 상대 경로명으로 이동한다.
- .. : 부모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 절대경로를 사용하여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고, ping 디렉토리를 생성 후 상대경로를 사용하여 ping 디렉토리로 이동 후, pwd로 결과 확인
1. 절대경로를 사용하여 홈 디렉터리로 이동

cd
- ~: 홈 디렉토리를 의미한다. cd ~ 는 홈 디렉토리로 이동하는 것을 의미한다.
- cd /home/username: 절대 경로명으로 이동한다. 홈 디렉토리를 절대 경로명으로 이동한 것이다.
2. ping 디렉토리 생성 후 상대 경로를 사용하여 ping 디렉터리로 이동 후, pwd로 결과 확인

mkdir
- 디렉토리를 생성한다. 이미 존재하는 파일의 이름과 동일한 이름의 디렉토리는 생성이 불가하다.
여러 오류의 이유
- 디렉토리 생성까지는 정상적으로 완료했으나, 디렉토리 생성 후에 자신의 위치는 생성한 디렉토리(ping)이므로 오류가 생겼다. pwd 명령어를 통해 자신의 위치를 확인한 후 깨달았고, 홈 디렉터리로 이동하여 하위 디렉터리인 ping 디렉터리로 이동하였다.
- cat을 사용하여 tmp1 파일을 생성하고, tmp1에 저장된 내용을 출력(내용은 자유)

cat
- 파일 내용의 연결 및 파일 내용을 출력하는 명령어이다. 여러 파일을 연결해 출력 가능하다.
- cat [파일이름] : 위 파일 내용을 출력한다.
- cat > [파일이름] : [파일이름] 파일을 생성한다. crtl+d를 눌러 텍스트 입력을 마친다.
- cat > tmp1 : tmp1이라는 파일이 없으므로 생성하였다.
- cat tmp1 : tmp1 파일 내용을 출력한다.
- tmp1 파일을 이용하여 sample이라는 이름의 심볼릭 링크 파일을 생성하고, cat 명령어로 sample 파일에 저장된 내용을 출력

파일 링크
- 기존에 있는 파일에 새로운 파일명을 붙여 링크를 연결하는 것이다.
- 하드링크: 기존에 파일에 새로운 파일명을 추가로 생성하는 것이다. 원본 파일과 동일한 inode(포인터와 유사)를 가진다.
- 심볼릭 링크: 원본 파일을 가리키는 새로운 파일을 생성하는 것이다. 윈도우의 바로가기와 유사하다.
- inode: 파일에 대한 정보를 가지고 있는 특별한 구조체이다. 포인터와 유사하다. 파일의 이름이 다르지만 inode 번호가 같다면 같은 파일이다.
ln [원본파일명] [링크파일명]
- 파일의 링크를 생성하는 명령어이다.
- ln-s : 심볼링 링크를 생성한다. inode 번호가 다르게 부여된다.
- “ls”, “ls –a”, “ls –l”명령어를 각각 실행하고 차이점 서술하기

ls :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의 내용을 출력한다.
- ls :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의 파일과 디렉터리 이름만 출력한다.
- ls -a : 숨겨진 파일과 디렉터리, 현재 위치한 디렉터리의 파일과 디렉터리 이름을 출력한다.
- ls -l : 현재 위치한 디렉토리의 파일과 디렉터리의 자세한 정보를 표시한다.
- ping 디렉토리에 test1 서브 디렉토리를 만들고, test1 디렉토리로 이동

- tmp1 파일을 test1 서브디렉토리 아래에 aaa라는 이름으로 바꾸어서 복사하고, ls 명령어를 사용하여 실행 결과 출력

cp [옵션] [경로1(복사할 파일)] [경로2(복사할 위치)]
- 파일이나 디렉터리를 복사할 수 있다.
- cp -r :디렉터리를 복사할 때 하위 디렉터리까지 모두 포함하여 복사한다.

tmp1 파일을 test1디렉터리에 aaa 파일로 복사하였다.
- ping 디렉토리에서 cp –r 명령어를 사용하여 test1 디렉토리 전체를 새로운 서브 디렉토리인 test3으로 복사


ping 디렉터리에 test1 디렉터리 전체를 test3을 새로 만들며 복사하였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