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Linux] 리눅스 사용법 2주차

큐가·2025년 2월 2일
1

과제1. 아래와 같은 명령어들을 수행하여 hw1.c 파일을 생성하고, 컴파일 후 각각의 실행 결과를 캡쳐

1. $ vi hw1.c


vi

  • 문서 편집기이다. 화면 단위 편집기에 해당한다.
  • 동작 모드로는 명령 모드, 입력 모드, 마지막행 모드(콜론 모드)가 있다.

hw1.c 파일을 편집할 수 있는 환경을 실행하였다.

명령 모드가 시작되는 창이다.

현재 커서에서 i를 입력하여 입력 모드로 전환하였다.


문제에 제시된 hw1.c 파일을 입력하였다.
이후 esc를 누르고 명령 모드로 전환하였고 : + w + q를 입력하여 작업한 내용을 저장한 후 vi를 종료하였다

  • esc : 입력모드에서 누를 경우 명령모드로 전환된다.
  • :wq : 작업한 내용을 저장한 후 vi를 종료한다.

2. $ gcc hw1.c –o hw1


오류

  • hw1.c 파일의 printf를 print로 입력하여 컴파일 오류가 생겼다.
  • 터미널에서 수정하는 법을 몰라서 텍스트 파일을 찾아 수정하였다.

    수정 완료된 모습


명령어 입력 후 컴파일 완료

gcc hw1.c -o hw1

  • 한 개의 파일로 작성된 프로그램을 컴파일하는 명령어이다. hw1.c 파일을 컴파일한다.
  • -o : 실행파일명을 지정하는 옵션이다.

3.$ ./hw1


프로그램 실행 완료: 출력됨

4. $ ./hw1 input


프로그램 실행 완료

과제2. 4개의 파일을 vi 에디터로 작성(main.c, hello.h, hello.c, bye.c)


main.c 파일 생성

문제에 주어진 main.c 파일 입력

cat 명령어를 통해 main.c 파일 출력

같은 방법으로 hello.h, hello.c, bye.c 파일을 생성 및 출력한다.


같은 방법으로 hello.h 파일 생성 및 출력

같은 방법으로 hello.c 파일 생성 및 출력

같은 방법으로 bye.c 파일 생성 및 출력

과제 2-1. 4개의 프로그램을 자동 컴파일 하여 실행 파일 all 을 만들어주는 makefile을 작성 (vi와 makefile 명령어사용)


makefile을 생성한다.

완료된 모습이다.

과제 2-2. make 명령어를 실행한 후 실행 결과를 캡쳐

완료된 모습이다.

profile
대학교 2학년, 컴퓨터학과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