지난번 포스팅을 통해 MCP가 무엇이고,
어떻게 동작하는 지에 대해 공부해보았다.
이제, Claude Desktop과 내 로컬 파일시스템을 연동해보고
직접 프롬프트를 통해 제어해보자.
다만, 들어가기에 앞서 Claude Desktop의 MCP 서버 연동을 위해선
Node.js
가 필수적이다.
굳이 Node.js
설치법까지 진행하진 않겠다.
먼저, Claude Desktop에서 MCP를 사용하기 위해선
개발자모드를 활성화해야한다.
방법은 다음과 같다.
개발자모드 활성화
1. 상단 메뉴 버튼
2. 도움말 > 개발자 모드 활성화
3. 재시작
이후엔 MCP 서버를 설정해야한다.
해당 경로를 통해 설정
을 클릭한다.
이후, 여기서 설정 편집
을 누르면
claude_desktop_config.json
파일의 위치를 Claude에서 열어준다.
해당 파일을 자신이 사용하는 IDE
로 열면 된다.
이후엔
이렇게 접근할 수 있는 폴더를 \\
에 유의해 작성한다.
완료되었다면,
Claude Desktop을 재실행한다.
그리고 도구에서 filesystem(설정한 MCP 명)이 확인된다면,
정상적으로 MCP 서버가 연동된 것이다.
연동 이후, 테스트를 위해
내 파일시스템에서 접근 가능한 디렉토리를 알려줘
라고 프롬프트를 작성해보면,
다음과 같은 안내문이 뜬 이후,
config.json
에 등록한 3개의 디렉토리에 접근하는 것을 볼 수 있다.
단순히 read
작업만 가능한 게 아닌 write
작업도 가능하다.
이렇게 바탕화면에 MCP_TEST.txt
파일이 생긴걸 확인할 수 있다.
단순한 연동은 이렇게 매우 간단한 걸 알 수 있다.
다만, 어떻게 사용하는 지를 구체화하는 것이 중요할 것 같다.
다음엔 Cursor.ai
와 Google Drive, Calendar
, GitHub
을 연동해보고 포스팅하겠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