최근 가장 핫하게 떠오른 기술은 단연코 MCP이다.
MCP(Model Context Protocol)은 뭐길래 이렇게 난리이며,
LLM 사용의 C타입은 도대체 무엇을 의미하는 건지 공부해보았다.
MCP는 Model Context Protocol의 약자로, Claude
를 개발한 Antrophic이 만든 프로토콜의 일종으로,
LLM
이 외부 시스템과 데이터소스에 실시간으로 연결하는 표준 프로토콜이다.
이를 통해, AI 시스템와 외부 데이터 간의 표준화된 인터페이스가 구축되었다는 것이 가장 큰 의의이다.
그럼 MCP 이전엔 AI Application이 다른 데이터 소스에 연결하지 못했는가?
- 그렇지 않다. 이전엔 직접 API를 구축하는 자체 개발의 형태로 진행하곤 했다.
사실, MCP는 지난 2024년 11월에 Antrophic이 세상에 오픈소스로 공개했지만, 당시엔 큰 관심을 받지 못했다.
그러나 2025년 초, Cursor.ai
의 MCP 지원을 통해 많은 개발자들에게 관심을 받게 되었고, 실제로 이를 통한 비즈니스가 진행되고 있다.
더불어 AI Agent의 포문을 열었다고 평가받는 Manus AI
의 등장도, MCP의 중요성을 강조하는데 큰 역할을 했다.
MCP는 Client-Server
아키텍처를 기본으로 하며
Host, MCP Client, MCP Server 3가지를 구성요소로 갖는다.
JSON-RPC
방식으로 동작하며 코드(Python, TypeScript, Java
등)으로 직접 제어되는 핵심GET
), Tools(POST
), Prompt(Command
)를 MCP 기본요소를 통해 제어Local
, Remote
로 구분smithery.ai
를 통해 이를 확인할 수 있다.MCP Primitive
- Tools
- AI가 호출해, 특정 작업을 수행
- API를 호출하거나, 브라우저를 컨트롤하고, DB 쿼리를 수행한다.
- Resource
- AI가 접근, 처리할 수 있는 외부 Data
- 파일시스템의 내용, System log, API Response 등이 있다.
- Prompt
- 재사용 가능한 명령어 template
기존 API 방식에서 파일 시스템, 클라우드와 같은 저장소에 접근하려면, 클라우드 DB에 대한 접근 API, 드라이버 등을 별도로 호출해 이를 Application 단에서 로직을 구현해야 했다.
혹은 LangChain
와 같이 Agent를 개발하는 에이전트 오케스트레이션 프레임워크를 사용해 LLM에 접근하고, 외부 데이터소스를 전달해야했다.
LangChain
을 지원하는 별도의 과정이 필요했고, LangChain
측도 이를 확장시키기위해 다양한 기업과 개인과의 직접적인 확장이 필요했다.여기서, 가장 중요한 차이점은 표준화
가 이뤄지는 대상이다.
LangChain
의 경우, 개발자 코드에서 도구를 통합하기 위한 표준을 제시하는 방법이고,MCP
는 모델이 직접 실시간으로 필요한 도구를 확인, 발견하고 직접 제어하는 표준이다.그렇다면, LLM을 사용하는 기존 방식 중 가장 강력했던 RAG
와는 어떤 차이가 있을까?
가장 큰 차이는 데이터의 변화를 실시간으로 접근하냐 못하냐에 있다.
RAG
의 경우, LLM의 지식 한계를 벗어나는 효과적인 방법이지만,
제공하는 데이터 소스가 정적이라는 한계가 있다.
NotebookLM
에서 Google Drive
를 연동해 이를 외부 소스로 사용한다면,Drive
내 내용이 변화한다고 이를 즉시 알아채 결과값에 변동이 생기지 않는다.NotebookLM
의 경우에는 Drive 동기화
를 직접 클릭해 외부 소스 최신화를 사용자가 직접해야한다.그렇다면 MCP는 진정한 의미의 AI Agent로 다가가는가?
다만, MCP가 Software Engineer를 대체한다고 보기는 어렵다.
그만큼 더욱 다양한 정보를 빠르게 학습하고 사용해야한다.
Notion
, Google Drive
와 같은 대형 서비스 외에도 소규모 서비스부터, 개인의 니즈를 맞춘 커스텀 MCP도 더욱 빠르게 등장할 것이다.Playwright MCP
를 통해 브라우저를 직접 컨트롤 할 수 있지만, 이를 모르고 있다면 MCP를 사용함에도 브라우저는 직접 제어하는 모습도 있을 수 있다.그러나, 기술의 양면이 있는 만큼 MCP도 Risk를 가지고있다.
보안
에 있다.TRUNCATE, DROP
이라면? 이를 사용자 확인없이 바로 처리된다면?SQL Injection
공격을 DB에 다이렉트로 진행한다면?다음 포스트에는 Claude, Cursor
를 통해 Google Drive
와 파일 시스템
등에 접근, 제어하는 과정을 진행해보겠다.
이를 기반으로 주식 시장을 파악하고, 정보를 작성하는 프로그램을 작성해보겠다.
[참고자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