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 지난 프로젝트에서 GitKraken을 활용해 깃을 사용해 본 적이 있으나, 제대로 개념을 익히지 않은 상태로 선배에게 필요한 기능만 간단하게 조언받아 사용해 실수가 굉장히 많았고,, 힘들었습니다😭 그래서 다시 강의를 듣고 정리해봅니다!
(VS 내 terminal 기준으로 작성)
$ git config --global core.autocrlf true
-> 개행 문자 설정
$ git config --global user.name '이름'
-> commit(버전 생성)위한 정보 등록
$ git config –global user.email ‘메일’
($ git config –global –list
-> 구성 확인)
$ git init
-> 현재 프로젝트에서 변경사항 추적(버전 관리) 시작
($ git status
-> 프로젝트 상태 확인)
$ git add .
-> 버전 관리 위해 모든 파일을 등록
$ git commit -m ‘Start project’
($ git log
-> 로그 확인)
$ git remote add origin 주소
-> 해당 주소에 origin이라는 이름을 가진 원격 저장소 추가
$ git push origin master
-> 추가한 원격 저장소에 master 브랜치 push
$ git add index.html
-> 해당 파일 stage로 올리기
$ git add .
-> 모든 파일 stage(변경사항 추적 중)로 올리기
$ git commit -m ‘메시지’
-> 메시지와 함께 버전 생성
🌟🌟🌟 add / commit 반복 (전부 local에서 이루어지는 것) 🌟🌟🌟
$ git push origin 현재브랜치
// origin으로 버전 내역 전송
$ git branch
-> 로컬 branch 정보 확인
$ git branch -a
-> 로컬+리모트 저장소 모든 branch 정보 확인
$ git branch 이름
-> 해당 이름을 가진 branch 생성
$ git checkout 이름
-> 해당 이름을 가진 branch로 이동
$ git branch -d 이름
-> 해당 이름을 가진 branch 삭제 (다른 곳으로 나와서 해야 함)
$ git checkout -b 이름
-> 해당 브랜치 생성하며 바로 이동
$ dir
-> 디렉터리 목록 확인
$ cd 폴더명
-> (change directory) 폴더 이동
⭐ tab으로 자동완성 이용하기
$ git clone 저장소주소
-> 해당 위치에 저장소의 코드 복제
🌟 git clone은 master 브랜치만 가지고 옴!
$ git branch -r
-> 전체 브랜치 확인
$ git checkout -t 이름
-> 해당 브랜치도 가지고와 이동
$ git reset --hard HEAD~1
-> 버전 하나를 reset
$ git reset --hard HEAD~2
-> 버전 두개를 reset
$ git reset --hard ORIG_HEAD
-> reset한 내역 하나를 원상복귀
🌟 매우 조심해서 사용해야 함!!!
$ git pull origin master
-> origin->master 가져오기
+) $ code .
-> 현재 파일을 새로운 창에 프로젝트로 오픈
+) $ code . -r
-> 현재 파일을 현재 창에 프로젝트로 오픈