목차 서론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하는 이유 DBMS의 종류 및 특징 1. 관계형 DBMS (RDBMS) 2. 비관계형(NoSQL) DBMS 데이터베이스 설계의 기본 요소 (논리-vs-물리) 1. 논리적 모델링 2. 물리적 모델링 데이터베이스
앞선 글에서는 스프레드시트보다 데이터베이스(DBMS)가 훨씬 강력한 이유(데이터 무결성, 보안, 백업, 커뮤니티 지원)를 다뤘다. 이제 “왜 실무에서 DBMS가 필수가 되었는가?”에 대해 어느 정도 감이 잡힐 것이다. 하지만 한 가지 더 중요한 궁금증이 있다
정규화 탄생 배경: 데이터 중복 제거와 이상(Anomaly) 방지를 위한 설계 기법. 정규화란 무엇인가: 데이터베이스 설계를 최적화하는 프로세스. 정규화의 종류: 1NF, 2NF, 3NF, BCNF. 정규화의 장단점: 중복 감소, 무결성 유지 vs 복잡한 쿼리와 성능
트랜잭션이란: 데이터베이스 작업의 논리적 단위. 트랜잭션의 특성(ACID): 원자성(Atomicity), 일관성(Consistency), 격리성(Isolation), 지속성(Durability). 트랜잭션과 Lock: 동시성 제어를 위한 락 메커니즘(공유 락, 배타 락
목차 개요 데드락(Deadlock)이란? 왜 데드락이 발생하는가? 데드락을 실전에 비유 어떻게 해결해야 하는가? 실제 SQL 예시 (데드락 실패) 실제 SQL 예시 (성공 사례) 데드락 회피 방법 타임스탬프 기반 방식 Wait-Die / Wound-Wait
개요(- SQL Injection이란?( - SQL Injection 실전 공격 예시( - 강제로그인 1번( - 강제로그인 2번( - Union Select를 활용한 공격(- SQL Injection 예방법( - Statement vs Prepare
개요 앞선 데이터베이스 시리즈에서 관계형 데이터베이스(RDBMS)의 구조와 특징, 그리고 실무에서 데이터베이스를 사용할 때 고려해야 할 보안 이슈들을 살펴봤습니다. 이번 글에서는 한 걸음 더 나아가, 최근 빅데이터, 실시간 처리, 대용량 트래픽 환경에서 주목받는