함수를 인자로 전달받거나 함수를 결과로 반환하는 함수를 말한다. 다시 말해, 고차 함수는 인자로 받은 함수를 필요한 시점에 호출하거나 클로저를 생성하여 반환한다. 자바스크립트의 함수는 일급 객체이므로 값처럼 인자로 전달할 수 있으며 반환할 수도 있다. 이 때 다른 함수의 인자로 전달되는 함수를 콜백 함수라고 한다.
일급 객체인 고차함수의특징은 이렇다.
- 변수에 할당할 수 있다.
- 다른 함수의 인자(argument)로 전달될 수 있다.
- 다른 함수의 결과로서 리턴될 수 있다.
function makeCounter(predicate) {
let num = 0;
// 클로저. num의 상태를 유지한다.
return function () {
num = predicate(num);
return num;
};
}
function increase(n) {
return ++n;
}
function decrease(n) {
return --n;
}
// makeCounter는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그리고 클로저를 반환한다.
const increaser = makeCounter(increase);
console.log(increaser()); // 1
console.log(increaser()); // 2
// makeCounter는 함수를 인수로 전달받는다. 그리고 클로저를 반환한다.
const decreaser = makeCounter(decrease);
console.log(decreaser()); // -1
console.log(decreaser()); // -2
고차 함수는 외부 상태 변경이나 가변 데이터를 피하고 불변성을 지향하는 함수형 프로그래밍에 기반을 두고 있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순수 함수와 보조 함수의 조합을 통해 로직 내에 존재하는 조건문과 반복문을 제거하여 복잡성을 해결하고 변수의 사용을 억제하여 상태 변경을 피하려는 프로그래밍 패러다임이다. 조건문이나 반복문은 로직의 흐름을 이해하기 어렵게 하여 가독성을 해치고, 변수의 값은 누군가에 의해 언제든지 변경될 수 있어 오류 발생의 근본적 원인이 될 수 있기 때문이다.
함수형 프로그래밍은 결국 순수 함수를 통해 부수 효과(Side effect)를 최대한 억제하여 오류를 피하고 프로그램의 안정성을 높이려는 노력의 한 방법이라고 할 수 있다.
자바스크립트에 기본적으로 빌트인되어 있는 내장 고차함수는 아래와 같은 것들이 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