대칭키 및 비대칭키 암호화 방식

박재성·2025년 5월 27일
0

면접 대비 지식

목록 보기
11/11

암호화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기술이며,
크게 대칭키 방식(Symmetric Encryption)비대칭키 방식(Asymmetric Encryption)으로 나뉩니다.


🔹 대칭키 암호화 (Symmetric Key Encryption)

✅ 개념

  • 하나의 동일한 키를 사용하여 데이터를 암호화하고 복호화
  • 송신자와 수신자가 같은 비밀키를 공유해야 함

✅ 특징

  • 암호화/복호화 속도가 빠름
  • 키가 노출되면 보안이 즉시 무너짐
  • 키의 안전한 전달이 어려움 (키 분배 문제)

✅ 대표 알고리즘

  • AES (Advanced Encryption Standard)
  • DES, 3DES, RC4 등

✅ 예시

[암호화] 평문 → (공유된 키) → 암호문
[복호화] 암호문 → (같은 키) → 평문

🔹 비대칭키 암호화 (Asymmetric Key Encryption)

✅ 개념

  • 서로 다른 두 개의 키(공개키, 개인키)를 사용
  • 공개키(Public Key): 누구나 볼 수 있음
  • 개인키(Private Key): 소유자만 보관
  • 공개키로 암호화하면, 개인키로만 복호화 가능 (그 반대도 가능)

✅ 특징

  • 키 분배가 안전함 (공개키는 공개해도 되므로)
  • 연산 속도는 대칭키보다 느림
  • 주로 데이터 암호화 + 디지털 서명 용도로 사용

✅ 대표 알고리즘

  • RSA
  • DSA
  • ECC

✅ 예시

[암호화] 평문 → (공개키) → 암호문
[복호화] 암호문 → (개인키) → 평문

또는 디지털 서명의 경우:

[서명] 평문 → (개인키) → 서명
[검증] 서명 → (공개키) → 유효 여부 확인

🔄 하이브리드 방식

현대의 암호화 통신에서는 대칭키 + 비대칭키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예: HTTPS 통신
1.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공개키로 대칭키(AES 키)를 암호화해서 보냄
2. 서버는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대칭키를 얻음
3. 이후의 데이터 교환은 속도가 빠른 대칭키 방식으로 수행됨


✅ 정리

구분대칭키 암호화비대칭키 암호화
키 종류하나의 비밀키공개키 / 개인키
속도빠름느림
보안성키 유출 위험 존재상대적으로 안전
사용 예파일 암호화, VPN인증서, HTTPS, 서명

둘 다 장단점이 있으며, 실제 환경에서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

0개의 댓글