암호화는 데이터를 안전하게 보호하기 위해 중요한 기술이며,
크게 대칭키 방식(Symmetric Encryption)과 비대칭키 방식(Asymmetric Encryption)으로 나뉩니다.
[암호화] 평문 → (공유된 키) → 암호문
[복호화] 암호문 → (같은 키) → 평문
[암호화] 평문 → (공개키) → 암호문
[복호화] 암호문 → (개인키) → 평문
또는 디지털 서명의 경우:
[서명] 평문 → (개인키) → 서명
[검증] 서명 → (공개키) → 유효 여부 확인
현대의 암호화 통신에서는 대칭키 + 비대칭키를 조합한 하이브리드 방식이 일반적입니다.
예: HTTPS 통신
1. 클라이언트가 서버의 공개키로 대칭키(AES 키)를 암호화해서 보냄
2. 서버는 자신의 개인키로 복호화하여 대칭키를 얻음
3. 이후의 데이터 교환은 속도가 빠른 대칭키 방식으로 수행됨
구분 | 대칭키 암호화 | 비대칭키 암호화 |
---|---|---|
키 종류 | 하나의 비밀키 | 공개키 / 개인키 |
속도 | 빠름 | 느림 |
보안성 | 키 유출 위험 존재 | 상대적으로 안전 |
사용 예 | 파일 암호화, VPN | 인증서, HTTPS, 서명 |
둘 다 장단점이 있으며, 실제 환경에서는 하이브리드 방식으로 함께 사용되는 경우가 많습니다.