정보처리 요약정리 1-4 ✔

서린·2024년 3월 13일
0

정보처리산업기사

목록 보기
4/8
post-thumbnail

1과목 정보시스템 기반기술 4장 요약정리 💻


SW / 보안 관련 신기술

  • 매시업(Mashup)
    웹에서 제공하는 정보 및 서비스를 이용하여 새로운 소프트웨어나 서비스, 데이터베이스 등을 만드는 기술이다.
  • 서비스 지향 아키텍처(SOA)
    • 기업의 소프트웨어 인프라인 정보시스템을 공유와 재사용이 가능한 서비스 단위나 컴포넌트 중심으로 구축하는 정보기술 아키텍처이다.
    • 기업의 IT 시스템을 비즈니스에 맞춰 유연하게 사용할 수 있따는 것이 장점이다.
    • SOA 기반 애플리케이션 구성 계층
      표현(Presentation)계층, 업무 프로세스(Biz-process)계층, 서비스 중간(Service Intermediary)계층, dovmfflzpdltus(Application)계층, 데이터 저장(Persistency)계층
  • 시큐어 코딩
    • 소프트웨어 구현 단계에서 발생할 수 있는 보안 취약점들을 최소화 하기위해 보안요소들을 고려하며 코딩하는것을 의미
    • 보안 취약점을 사전에 대응, 보안정책을 바탕으로 시큐어 코딩 가이드를 작성하고, 개발참여자에게는 시쿠어 코딩 교육을 실시
  • 서비스형 블록체인(Baas)
    • 블록체인(Blockchain) 앱의 개발 환경을 클라우드 기반으로 제공하는 서비스
    • 블록체인 네트워크에 노드의 추가 및 제거가 용이, 블록체인 플랫폼마다 다른 블록체인 기술을 보다 편리하게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OWASP(오픈 웹 애플리케이션 보안 프로젝트)
    • 웹 정보 노출이나 악성 코드, 스크립트, 보안이 취약한 부분을 연구하는 비영리 단체
    • 보안 취약점 중 보안에 미치는 엉향이 큰 것을 기준으로 선정한 10대 웹 애플리케이션 취약점을 3~4년에 한번씩 발표하고 있다.

HW 관련 신기술

  • 고가용성(HA)
    • 긴 시간동안 안정적인 서비스 운영을 위해 장애 발생 시 즉시 다른시스템으로 대체 가능한 환경을 구축하는 메커니즘
  • RAID
    • 여러개의 하드디스크로 디스크 배열을 구성하여 파일을 구성하고 있는 데이터블록들을 서로 다른 디스크들에 분산 저장할 경우 그 블록들을 여러 디스크에서 동시에 읽거나 쓸 수 있으므로 디스크의 속도가 매우 향상되는데, 이 기술을 RAID라고 한다.
  • 앤 스크린(N-Screen)
    • N개의 서로 다른 단말기에서 동일한 콘텐츠를 자유롭게 이용할 수 있는 서비스
  • 멤스(MEMS)
    • 초정밀 반도체 제조 기술을 바탕으로 센서, 액추에이터(Actuator)등 기계 구조를 다양한 기술로 미세 가공하여 전기기계적 동작을 할 수 있또록 한 초미세 장치이다.

DB 관련 신기술

  • 빅데이터(Big Data)
    • 기존의 관리 방법이나 분석 체계로는 처리하기 어려운 막대한 양의 정형 또는 비정형 데이터 집합으로, 스마트 단말의 빠른 확산, 소셜 네트워크 서비스의 활성화, 사물 네트워크의 확대로 데이터 폭발이 더욱 가속화 되고 있다.
  • 하둡(Hadoop)
    • 오픈 소스를 기반으로 한 분산 컴퓨팅 플랫폼
    • 일반 PC급 컴퓨터들로 가상화된 대형 스토리지를 형성하고 그 안에 보관된 거대한 데이터 세트를 병렬로 처리할 수 있도록 개발된 자바 소프트웨어 프레임워크로, 구글, 야후 등에 적영되고 있다
  • 맵리듀스(MapReduce)
    • 대용량 데이터를 분산처리하기 위한 목적으로 개발된 프로그래밍 모델로, 흩어져 있는 데이터를 연관성 있는 데이터 분류로 묶는 Map 작업을 수행한 후 중복 데이터를 제거하고 원하는 데이터로 추출하는 Reduce 작업을 수행한다.
  • 타조(Tajo)
    • 오픈 소스 기반 분산 컴퓨팅 플랫폼인 아파치 하둡(Apache Hadoop) 기반의 분산 데이터 웨어하우스 프로젝트로, 우리나라가 주도하여 개발하고 있다.

네트워크 관련 신기술

  • 소프트웨어 정의 네트워킹(SON)
    • 네트워크를 컴퓨터 처럼 모델링하여 여러가지 사용자가 각각의 소프트웨어들로 네트워킹을 가상화하여 제어하고 관리하는 네트워크
    • 네트워크 비용 및 복잡성을 해결할 수 있는 기술로 간주되어 기존 네트워킹 기술의 폐쇄형 하드웨어 및 소프트웨어 기술을 개방형으로 변화시키는 미래 인터넷 기술로 떠오르고 있음
  • IoT(사물 인터넷)
    • 정보통신 기술을 기반으로 실세계와 가상 세계의 다양한 사물들을 인터넷으로 서로 연결하여 진보된 서비스를 제공하기 위한 서비스 기반 기술이다.
  • 메시 네트워크
    • 차세대 이동통신, 홈네트워킹, 공공 안전 등 특수목적을 위한 네트워크
    • 수십에서 수천개의 디바이스를 유기적으로 연결하여 모든 구간을 동일한 무선망처럼 구성하여 사용자가 안정적인 네트워크를 사용할 수 있게 한다
  • 클라우드 컴퓨팅
    • 각종 컴퓨팅 자원을 중앙 컴퓨터에 두고 인터넷 기능을 갖는 단말기로 언제 어디서나 인터넷을 통해 컴퓨터 작업을 수행할 수 있는 환경을 의미
  • 파스-타(PaaS-TA)
    • 소프트웨어 개발 환경을 제공하기 위해 개발한 개방형 클라우드 컴퓨팅 플랫폼
  • SSO(Single Sign On)
    • 한번의 로그인으로 개인이 가입한 모든 사이트를 이용할 수 있게 해주는 시스템이다.
  • 스마트 그리드
    • 전력선을 기반으로 모든 통신, 정보 관련 애플리케이션 인프라를 하나의 시스템으로 통합하여 관리함으로써 효율적인 에너지 관리가 가능하다.
profile
개발 일기 ( •̀ ω •́ )✧

0개의 댓글

관련 채용 정보