개발자들이 API 테스트와 관리에 많은 시간을 소비하는 현실에서, Apidog는 Postman의 대안으로 주목받고 있습니다. API 개발 팀에 최적화된 Apidog는 실시간 업데이트, 무제한 컬렉션 실행, 시각적 API 명세 생성 등 다양한 기능을 제공하여 개발 워크플로우를 향상시킵니다. 바이브 코딩처럼 효율적인 개발을 추구한다면 Apidog를 활용해 보는 것이 좋겠습니다.
이 글은 "1엔도 사용하고 싶지 않은 개인 개발을 위한 기술 스택"이라는 글에 영감을 받아 작성되었습니다. 원 글의 저자 💣😺님께 감사 인사를 드립니다.
가능하시면 원본 글에도 좋아요를 눌러주시길 바랍니다.
이 글에서는 0원으로 개인 개발 및 배포가 가능한 웹 애플리케이션 기술 스택을 소개합니다. 주요 대상 독자는 웹 앱 개발 경험이 있지만 금전적 문제로 배포 환경 확보가 어려운 학생들입니다. 프론트엔드부터 백엔드, 배포 대상, 데이터베이스, 인증 메커니즘까지 무료 서비스를 조합하여 비용 없이 개발 및 운영하는 방법을 설명합니다. 적절히 활용하면 서버 비용은 0원으로, 위험 없이 고속 웹 서비스를 공개할 수 있습니다 (무료 플랜으로 이용 가능).
프론트엔드에는 Next.js가 가장 유력합니다. Next.js는 React 기반 프레임워크로, 서버 사이드 렌더링(SSR), 정적 사이트 생성, 라우팅, API 구축 등 풀스택 기능을 갖추고 있습니다. 커뮤니티가 이미 성숙하여 학습 자료와 플러그인도 풍부하고 사용하기 쉬우며, 다양한 서비스와 통합하기 쉬운 것도 장점입니다. 공식적으로 Vercel이 개발을 주도하고 있어 업데이트도 활발하며, 성능 최적화와 개발자 경험이 뛰어납니다. Next.js 자체는 오픈소스로 무료이므로, 호스팅만 잘 활용하면 고급 프론트엔드를 0원으로 구축할 수 있습니다.
Next.js는 모든 종류의 웹 애플리케이션 프론트엔드에 활용할 수 있습니다. 예를 들어 동적 콘텐츠를 다루는 서비스에서 SEO를 고려할 경우 SSR이 유용하고, 블로그나 문서 사이트에서는 정적 생성을 통한 빠른 표시가 가능합니다. 싱글 페이지 애플리케이션(SPA) 방식으로도 사용 가능하며, React 생태계의 풍부한 컴포넌트와 라이브러리를 활용하여 풍부한 UI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특히 프론트와 간단한 백엔드를 한 번에 개발 및 배포하고 싶은 개인 개발에 적합하며, 뒤에서 설명할 Next.js의 서버 기능을 사용하면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동일 프로젝트 내에서 완결할 수 있어 환경 구축과 배포의 수고를 크게 줄일 수 있습니다.
백엔드(서버 측 처리)에는 Next.js에 내장된 서버 액션("use server")과 FastAPI(Python 프레임워크)로 독립적인 API 서버를 구축하는 방법이 있습니다. 각각의 특징과 활용법을 살펴보겠습니다.
Next.js의 서버 액션(use server): Next.js 13 이후로는 컴포넌트 내에서 "use server" 지시문을 붙인 함수를 정의하여 서버 사이드 처리를 직접 작성할 수 있습니다. 폼 제출 처리 등에서 API 경유 없이 서버상의 함수를 직접 호출할 수 있어 기존의 API 통신 대기 시간을 줄이면서 개발을 간소화할 수 있습니다. 프론트와 백을 동일 언어, 동일 프로젝트에서 관리할 수 있어 개발 효율성과 성능 향상이 기대되며, 작은 규모의 처리라면 Next.js의 서버 기능만으로도 충분히 구현 가능합니다. 별도 서버를 구축할 필요 없이 추가 비용 없이 백엔드 기능을 추가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장점입니다.
FastAPI(Python): FastAPI는 Python의 경량 웹 프레임워크로, 필요한 기능을 갖춘 고속 REST API 서버를 구축할 수 있습니다. 비동기 처리를 지원하여 Node.js나 Go에 필적할 정도로 고속 애플리케이션 개발이 가능하며, 의존성을 선언적으로 작성하는 것만으로 자동으로 Swagger UI 문서가 생성되는 등 개발 생산성도 높습니다. Python 표준 타입 힌트를 활용하여 직관적으로 코딩할 수 있고, 유효성 검사와 에러 핸들링도 충실합니다. 또한 Python 프레임워크의 이점으로 기계 학습을 포함한 풍부한 Python 라이브러리와의 친화성이 높다는 점도 장점입니다. 과학 기술 계산이나 AI 기능을 포함한 서비스의 백엔드로 채택하면 적은 코드량으로 견고하고 빠른 API를 구현할 수 있습니다.
Next.js 내장 서버 기능과 FastAPI 중 어느 것을 사용할지는 프로젝트 요구 사항이나 개발자의 스킬셋에 따라 달라집니다. Next.js의 Server Actions는 프론트와 백을 한 번에 배포할 수 있고 설정도 간단한 반면, 작동 환경은 Node.js로 제한되어 고급 처리나 장시간의 태스크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반면 FastAPI는 독립적인 백엔드로 Python에서 자유롭게 구현할 수 있어, 무거운 계산 처리나 외부 시스템 연계 등 고급 요구 사항에 대응할 수 있습니다. 다만 별도 호스팅이 필요하고, 프론트와의 통신은 HTTP를 경유하므로 구현과 운영의 수고가 증가합니다.
Next.js의 use server가 적합한 경우: 백엔드 처리가 비교적 간단하고, 프론트에 밀접하게 관련된 경우입니다. 예를 들어 폼 제출 처리나 간단한 DB 조작 정도라면, Next.js 내에 서버 함수를 구현하는 것만으로도 충분합니다. 추가 인프라를 준비하지 않아도 되므로, 우선 Next.js만으로 서비스를 완결하고, 필요에 따라 나중에 전용 API를 분리하는 형태가 효율적입니다.
FastAPI를 사용해야 하는 경우: 백엔드에서 고급 로직이나 외부 라이브러리를 사용하고자 할 때, 또는 Python으로만 구현 가능한 기능(예: 기계 학습을 통한 분석)이 필요한 경우입니다. 이런 경우에는 Django나 FastAPI 같은 Python 프레임워크를 백엔드로 선택하는 것이 합리적입니다. FastAPI로 구축한 API는 프론트엔드 외에도 사용하기 쉬우며, 향후 모바일 앱 등 다른 클라이언트에서 접근을 고려하는 경우에도 유용합니다. FastAPI를 채택하는 경우에도 Deta Space나 Render 같은 무료 클라우드 호스팅을 이용하면 추가 비용 없이 배포 가능합니다(신용카드 등록 불필요). Python에 익숙하다면 개발도 원활하게 진행할 수 있으므로, 필요에 따라 이 방법을 선택하는 것이 좋습니다.
프론트엔드와 백엔드를 구현했다면, 다음은 이를 배포할 호스팅입니다. Cloudflare Pages는 정적 사이트뿐만 아니라 서버리스 함수도 다룰 수 있는 호스팅 서비스로, Next.js 프로젝트도 배포 가능합니다. 무료 플랜에서도 하루 10만 요청까지 이용할 수 있어, 개인 개발 수준의 접속량에는 충분합니다. 시작하기 위해 신용카드 등록도 필요 없어 부담 없이 사용할 수 있으며, 일반적인 사용에서 요금이 발생하는 일은 거의 없습니다. 빌드(배포)도 GitHub 연동으로 자동화할 수 있고, 프리뷰 환경(브랜치별 스테이징 URL)도 제공되어 개발 흐름도 쾌적합니다. 만약 무료 할당량을 초과하더라도 저렴한 비용(월 몇 달러 정도)으로 이용을 계속할 수 있어 안심하고 운영할 수 있습니다.
배포 대상 후보로는 Vercel이나 Netlify 등도 있지만, Cloudflare Pages는 무료 플랜에서도 상업적 이용이 가능하다는 점이 큰 강점입니다. 예를 들어 Vercel은 무료 플랜에서 상업 프로젝트를 호스팅하는 것이 허용되지 않아, 미래에 수익화를 고려하는 경우에는 적합하지 않습니다. Netlify도 무료 플랜에서는 일본 리전의 CDN을 사용할 수 없어 표시 속도 면에서 불리합니다. Cloudflare Pages는 무료 할당량이 매우 넓고 제약이 적어, 팀 멤버 추가 등도 무료로 할 수 있습니다. 단점으로는 Next.js 특유의 기능(이미지 최적화 등)에 일부 제한이 있거나 배포 설정에 공을 들여야 하는 경우도 있지만, 전반적으로 개인 개발에서는 최적의 호스팅 선택지라고 할 수 있습니다.
백엔드의 데이터 영속화에는 데이터베이스가 필요합니다. 무료로 사용할 수 있는 대표적인 선택지로 Cloudflare D1, Supabase, Cloudflare KV의 세 가지를 소개하고, 각각의 특징을 비교합니다.
Cloudflare D1은 Cloudflare Workers 위에서 작동하는 서버리스 관계형 데이터베이스입니다. SQLite 호환 엔진을 채택하여, 경량이면서 고속 SQL 쿼리가 가능합니다. Cloudflare Pages/Workers와 원활하게 통합되어, 같은 플랫폼 상에서 프론트, 백엔드, DB가 완결되므로 연결 지연이 극소화되는 이점이 있습니다. 현재 일반 공개된 지 얼마 안 되었지만, 무료 플랜에서도 데이터베이스당 500MB까지 사용 가능하며(최대 10개의 DB 생성 가능), Supabase에 비해 사용상의 제약이 압도적으로 적어 다루기가 매우 쉽습니다. 클라우드에 전용 DB 서버를 구축하지 않아도 손쉽게 관계형 DB를 사용할 수 있어 개인 개발과의 궁합이 뛰어납니다.
Supabase는 오픈소스의 Firebase 대체로 주목받는 BaaS(Backend as a Service)로, 완전 관리형 PostgreSQL 데이터베이스를 제공합니다. 무료 플랜에서도 500MB의 데이터베이스 용량과 월 5GB의 데이터 전송량까지 이용 가능하여 개인 개발에는 충분한 스펙입니다. 표준으로 사용자 인증 기능과 스토리지(객체 저장) 기능도 갖추고 있으며, 관리 화면에서 스키마 설계나 API 설정이 가능하는 등 개발 생산성이 높은 것도 장점입니다. PostgreSQL 기반이므로 관계형 쿼리는 유연하면서도 고속이며, 실시간 알림 기능을 사용하여 클라이언트에 변경 사항을 배포하는 것도 가능합니다. 무료 할당량을 초과해도 바로 과금되는 것이 아니라, 프로젝트가 크게 성장할 때까지는 금전적 리스크 없이 운영할 수 있는 여유로운 서비스입니다.
Cloudflare KV는 Cloudflare가 제공하는 키-값 타입의 데이터 스토어입니다. Redis나 memcached 같은 역할을 하는 NoSQL 데이터베이스로, 전 세계적으로 분산 배치되어 읽기가 매우 빠릅니다. 무료 플랜에서도 하루 100,000번의 읽기와 1,000번의 쓰기가 가능하며, 설정한 키에 대해 몇 KB 정도의 값을 저장하는 용도라면 충분한 성능을 발휘합니다. KV는 최종적 일관성 모델(쓰기 직후에 모든 엣지에 반영되기까지 약간의 시간차 있음)이지만, 구성 관리 정보나 캐시 용도 등 약간의 일관성 지연이 허용되는 데이터에는 최적입니다. 관계형 DB만큼 고급 쿼리는 할 수 없지만, 간단한 데이터 영속화 방법으로 Cloudflare D1과 함께 사용할 수도 있습니다.
각 데이터베이스 기술의 주요 스펙과 특징을 정리합니다:
| 서비스 | 유형과 특징 | 무료 플랜의 용량 및 제한 | 비고 | 
|---|---|---|---|
| Cloudflare D1 | 서버리스 RDB(SQLite 호환). Workers와 통합된 글로벌 DB | DB당 500MB, 최대 10DB까지. Supabase보다 제한이 적고 유연함 | 2024년 일반 제공 시작. 현재도 활발히 기능 확충 중 | 
| Supabase | 관리형 PostgreSQL. BaaS로서 인증, 스토리지도 포함 | 500MB, 월 5GB 이그레스까지 무료 | GUI 콘솔과 API 생성 기능으로 개발 용이. 초과 시 단계적으로 유료화 | 
| Cloudflare KV | 키-밸류 스토어(NoSQL). 글로벌 분산 캐시에 최적화 | 1GB, 읽기 100k회/일, 쓰기 1k회/일까지 무료 | 최종적 일관성 모델. 고속 읽기가 필요한 설정 정보나 캐시용 | 
사용자 인증에는 Supabase Auth를 활용합니다. Supabase Auth는 Supabase에 내장된 인증 서비스로, 이메일 주소와 비밀번호를 통한 회원가입/로그인이나 OAuth 제공자 연동(GitHub나 Google로 로그인)을 쉽게 구현할 수 있습니다. 보안이나 인증 흐름의 복잡한 부분을 Supabase 측에서 처리해주므로, 직접 인증 메커니즘을 구축하는 것보다 안전하고 간편합니다. 무료 플랜에서도 월간 5만 명의 활성 사용자까지는 이용료가 발생하지 않고 신용카드 등록도 불필요하기 때문에, 서비스의 초기 단계에서는 충분할 정도의 여유가 있습니다. 이메일 확인이나 비밀번호 재설정 같은 기능도 갖추고 있어, 개발자는 프론트엔드 측에서 Supabase가 제공하는 라이브러리(@supabase/auth-js 등)를 사용하여 몇 줄의 코드만 작성하면 인증 기능을 추가할 수 있습니다.
사용자 로그인이 필요한 모든 웹 애플리케이션에서 Supabase Auth는 유용합니다. 특히 백엔드에 Supabase를 채택하는 경우는 물론, 그렇지 않은 경우에도 인증 부분만 Supabase에 맡기는 것도 가능합니다. 실제로 이 글에서 소개하는 스택에서는 데이터 저장은 Cloudflare D1을 사용하면서, 인증은 Supabase Auth를 활용하는 구성도 취할 수 있습니다. 이를 통해 개발자는 번거로운 인증 관련 구현에서 해방되어 핵심 기능 개발에 집중할 수 있습니다. 또한 무료 할당량이 매우 크기 때문에 사용자 수가 수만 명 규모에 달해 서비스가 본격적으로 수익화될 수 있을 때까지 비용을 신경 쓰지 않고 운영할 수 있다는 점도 큰 이점입니다. 다른 선택지로는 Firebase Authentication이나 Auth0 등도 있지만, 전자는 실시간 데이터베이스와 함께 사용하는 경우가 많고, 후자는 무료 할당량이 제한적입니다. 종합적으로 볼 때 Supabase Auth는 개인 개발에서 가장 균형 잡힌 인증 서비스라고 할 수 있습니다.
개발 중인 애플리케이션을 외부에 공개하여 테스트하고 싶은 경우에는 ngrok이라는 도구가 편리합니다. ngrok은 개발자가 로컬에서 실행하는 서버(localhost)를 일시적으로 인터넷상에 공개할 수 있는 터널링 서비스입니다. 손에 있는 PC에서 작동하는 웹 앱을 외부에서 접근 가능하게 만들 수 있어, 예를 들면 OAuth 인증의 리다이렉트 URL을 로컬 환경으로 지정해 외부 서비스와 연동 개발을 하거나, Webhook의 수신 엔드포인트를 로컬에서 실행하고 디버깅할 수 있습니다. 사용 방법은 간단합니다. ngrok 공식 사이트에서 계정을 등록(무료 플랜 있음)하고 도구를 설치한 후, 명령행에서 ngrok http 3000과 같이 포트 번호를 지정하기만 하면 됩니다. 그러면 자동으로 생성된 공개 URL(https://******.ngrok-free.app 등)이 할당되어, 해당 URL로 접근하면 로컬의 포트 3000으로 전달됩니다. SSL 지원이 되는 임시 공개 URL을 즉시 얻을 수 있는 편리함 덕분에, 프로토타입을 클라이언트에게 보여주고 싶은 경우 등에도 유용합니다. 무료 플랜에서는 동시에 1개의 터널까지만 사용 가능하며 URL은 랜덤 문자열이 되지만, 개발 용도라면 충분합니다.
마지막으로, 이 글에서 다룬 기술 스택의 각 요소를 정리합니다. 프론트엔드부터 데이터베이스, 인증, 개발 도구까지 0원으로 이용 가능한 서비스를 조합한 예시입니다.
| 분야 | 채택 기술 (무료 플랜) | 주요 특징 및 장점 | 기타 무료 후보 예시 | 
|---|---|---|---|
| 프론트엔드 | Next.js (React 프레임워크) | SSR과 정적 사이트 모두 대응. 커뮤니티 성숙으로 정보 풍부. SPA적 개발도 가능하고 범용성 높음. | 정적 사이트 생성기 각종(Gatsby 등), 기타 React 계열 FW(Remix, SvelteKit 등) | 
| 백엔드 | Next.js의 use server(내장 API) + FastAPI | Next.js 내에서 간단한 서버 처리 구현 가능. FastAPI는 독립적인 고속 API 서버 구축에 최적. 필요에 따라 둘을 구분해 사용. | Node.js + Express, Django (Python) 등 ※별도 호스팅 필요 | 
| 배포 | Cloudflare Pages (호스팅) | 넓은 무료 할당량(~10만 요청/일)으로 상업적 이용 가능. 글로벌 CDN으로 고속 배포. 배포 자동화와 프리뷰 환경 제공. | Vercel(상업적 이용 불가), Netlify(국내 CDN 없음) | 
| 데이터베이스 | Cloudflare D1 (서버리스 RDB) | Cloudflare 상의 SQLite 기반 RDB. 500MB까지 무료이며 제약 적음. 프론트와 동일 기반으로 지연 시간 적음. | Supabase (PostgreSQL), Cloudflare KV (키-값 저장소) | 
| 인증 | Supabase Auth (사용자 인증) | 이메일 및 OAuth 인증을 쉽게 추가. 5만 MAU까지 무료. 인증 UI와 라이브러리가 제공되어 개발 용이. | Firebase Auth(무료 할당량 있음), Auth0(소규모 프로젝트 위한 무료 플랜 있음) | 
| 개발 지원 | ngrok (터널링 도구) | 로컬 환경을 일시적으로 외부 공개해 테스트 가능. 설정과 사용이 간단. Webhook 수신이나 OAuth 개발에 필수급. | Cloudflare Tunnel, localtunnel(유사한 무료 터널링 서비스) | 
※ 위 정보는 2025년 시점 기준입니다. 각 서비스의 무료 할당량이나 사양은 변경될 수 있으므로, 최신 공식 정보도 확인해 주세요.
지금까지 설명한 것처럼, Next.js를 중심으로 한 기술 스택을 활용하면 서버나 데이터베이스에 전혀 비용을 지불하지 않고도 본격적인 웹 애플리케이션을 개인적으로 개발하고 공개할 수 있습니다. 프론트엔드는 Next.js, 호스팅은 Cloudflare Pages, 데이터베이스는 Cloudflare D1, 인증은 Supabase Auth라는 조합은 금전적 비용을 줄이면서도 개발 경험이 좋은 균형 잡힌 구성입니다. 세계 각지의 투자자와 클라우드 사업자의 지원으로 인한 관대한 무료 할당량을 충분히 활용합시다.
물론 최적의 선택지는 프로젝트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실시간성이 중요한 앱에서는 Supabase의 실시간 기능이나 Cloudflare KV를 활용하거나, 기계 학습 기능이 필요하다면 FastAPI와 그 호스팅 대상을 조합하는 등의 확장도 고려할